우울감 극복·정서적 안정 효과로 건강한 노후 실현 기여
세종특별자치시가 인공지능(AI)과 정보통신(ICT) 기술을 활용한 돌봄 및 건강관리 사업을 통해 어르신의 고독사 예방과 우울감 극복에 성과를 내며 건강한 노후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시는 건강관리가 필요한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앱과 건강측정기기를 활용해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사물인터넷(AI·IoT) 기반 건강관리사업’을 진행 중이다.
올해 초 모집한 참가자 414명에게 지난 8월말까지 건강 상태 평가 및 컨설팅 등 857건의 대면 서비스와 건강 과제(미션) 부여, 건강정보 제공 등 4,116건의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했다.
특히 참가자들에게 30분 이상 걷기, 산책하기, 혈압‧혈당 측정 등 다양한 건강 과제를 부여하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실질적인 건강습관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실제로 집안사정으로 인해 우울감을 느끼던 박 모씨(67, 도담동)는 세종시보건소의 권유로 인공지능‧사물인터넷 기반 건강관리사업에 참여하면서 일상에 활력을 되찾았다.
외출을 꺼리고 운동도 하지 않던 박 씨는 스마트 밴드와 혈압계 등을 이용해 스스로 건강을 점검하고, 주기적으로 상담을 받기 시작하면서 인근 복지관의 식사·운동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됐다.
이를 통해 6개월간 몸무게를 7㎏ 이상 감량하는 데 성공하면서 높은 성취감을 경험해 우울감 극복과 정서 안정에도 큰 도움이 됐다.
사회적 고립과 단절로 고독사 위험에 놓인 가구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똑똑 안부확인 돌봄서비스’도 위험자를 조기 발견해 보호하는 데 효과를 내고 있다.
시는 고독사 위험가구 114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 전기‧통신‧데이터 사용량 분석 등을 통해 안부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휴대전화로 움직임을 감지해 일정시간 반응이 없으면 자동으로 안부전화를 걸고, 미응답 시 담당기관에 자동으로 통보되도록 해 고독사 예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비스를 이용 중인 김 모씨(77, 고운동)는 “늘 혼자 지내고 있어 걱정이 많았는데, 휴대전화로 내 안부를 확인해줘 마음이 놓인다”며 고마움을 전했다.
이영옥 보건복지국장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후관리를 통해 대상자들에게 수준 높은 건강관리 및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고독사 예방은 물론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해 폭넓은 분야에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를 도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
▲ 세종시청 |
세종특별자치시가 인공지능(AI)과 정보통신(ICT) 기술을 활용한 돌봄 및 건강관리 사업을 통해 어르신의 고독사 예방과 우울감 극복에 성과를 내며 건강한 노후 실현에 기여하고 있다.
시는 건강관리가 필요한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앱과 건강측정기기를 활용해 비대면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인공지능‧사물인터넷(AI·IoT) 기반 건강관리사업’을 진행 중이다.
올해 초 모집한 참가자 414명에게 지난 8월말까지 건강 상태 평가 및 컨설팅 등 857건의 대면 서비스와 건강 과제(미션) 부여, 건강정보 제공 등 4,116건의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했다.
특히 참가자들에게 30분 이상 걷기, 산책하기, 혈압‧혈당 측정 등 다양한 건강 과제를 부여하며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실질적인 건강습관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실제로 집안사정으로 인해 우울감을 느끼던 박 모씨(67, 도담동)는 세종시보건소의 권유로 인공지능‧사물인터넷 기반 건강관리사업에 참여하면서 일상에 활력을 되찾았다.
외출을 꺼리고 운동도 하지 않던 박 씨는 스마트 밴드와 혈압계 등을 이용해 스스로 건강을 점검하고, 주기적으로 상담을 받기 시작하면서 인근 복지관의 식사·운동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됐다.
이를 통해 6개월간 몸무게를 7㎏ 이상 감량하는 데 성공하면서 높은 성취감을 경험해 우울감 극복과 정서 안정에도 큰 도움이 됐다.
사회적 고립과 단절로 고독사 위험에 놓인 가구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똑똑 안부확인 돌봄서비스’도 위험자를 조기 발견해 보호하는 데 효과를 내고 있다.
시는 고독사 위험가구 114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스피커 활용, 전기‧통신‧데이터 사용량 분석 등을 통해 안부 확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휴대전화로 움직임을 감지해 일정시간 반응이 없으면 자동으로 안부전화를 걸고, 미응답 시 담당기관에 자동으로 통보되도록 해 고독사 예방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서비스를 이용 중인 김 모씨(77, 고운동)는 “늘 혼자 지내고 있어 걱정이 많았는데, 휴대전화로 내 안부를 확인해줘 마음이 놓인다”며 고마움을 전했다.
이영옥 보건복지국장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후관리를 통해 대상자들에게 수준 높은 건강관리 및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고독사 예방은 물론 시민 건강 증진을 위해 폭넓은 분야에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를 도입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사회
강서구, 4050세대 위한 감성 맞춤형 만화 서가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0
사회
동두천시 보건소, 서울대학교병원 교수 초청 '2025년 시민건강 강좌...
프레스뉴스 / 25.10.20
문화
부천시, '독讀파민 팡팡, 제4회 놀러나온 도서관' 시청 잔디광장에...
프레스뉴스 / 25.10.20
국회
경기도의회 이영희 의원, 모현읍 고등학교 신설 필요성 공감대 형성
프레스뉴스 / 25.10.20
국회
경기도의회 곽미숙 의원, "책은 세대를 잇는 다리이자 마음을 여는 문입니...
프레스뉴스 / 25.10.20
스포츠
체육으로 하나되다…‘2025 천안시민한마음체육대회’ 25일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