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종합계획(2026∼2030) 수립 추진...투자예산은 2배 확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한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고,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제2차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을 통해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계획은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과 제주도 조례에 근거해 추진되며, 기후변화 대응과 지역농업 경쟁력 강화를 주요 목표로 한다.
제1차 사업에서는 키위, 브로콜리, 메밀, 비트 등 4대 작목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키위는 국내육성 신품종 ‘감황‘ 재배면적을 21ha로 확대했고, ‘하트골드‘ 브랜드를 출시했으며, 수출량도 1.9배 증가했다.
브로콜리는 자체 육성한 ‘삼다그린‘과 ‘한라그린‘ 품종을 현장 보급(54ha)해 종자비를 30% 절감했고, 운송방법 개선으로 물류비도 32% 줄였다.
메밀은 연간 30ha 규모의 채종단지를 조성하고, 국산품종 점유율을 26%까지 높였으며, 메밀건면과 커피 등 가공제품을 개발해 특산화 기반을 마련했다.
비트는 면역증진 효과를 밝히고, 표준규격을 제정했으며, 20종의 레시피를 개발해 활용도를 높였다.
농업기술원은 또한 농식품 가공연구실과 스마트 하우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감압농축기, 동결건조기 등 96종의 장비를 도입해 연구 인프라를 확충했다.
제2차 계획에서는 투자 예산을 기존 67억 원에서 138억 원으로 2배 확대하고, 감귤, 키위, 브로콜리, 메밀 등 제주 대표 작목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강화한다.
주요 연구 방향은 기후변화 대응 품종 육성, 디지털 육종 및 스마트 관리기술, 부가가치 향상 가공기술 개발이다.
‘스마트 관리기술 및 표준 모델 개발(감귤, 키위)‘, ‘기후변화 대응 및 병저항성 품종 육종(브로콜리)‘, ‘기능성분 분석 및 제품 개발(메밀)‘ 등 지역 특성 맞춤형 연구과제가 2026년부터 기술개발 7과제와 기반구축 2사업을 중심으로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양석철 연구협력팀장은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을 통해 제주에 적합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와 지역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 |
| ▲ 키위 '감황' |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추진한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고,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제2차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 종합계획’을 통해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 계획은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과 제주도 조례에 근거해 추진되며, 기후변화 대응과 지역농업 경쟁력 강화를 주요 목표로 한다.
제1차 사업에서는 키위, 브로콜리, 메밀, 비트 등 4대 작목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다.
키위는 국내육성 신품종 ‘감황‘ 재배면적을 21ha로 확대했고, ‘하트골드‘ 브랜드를 출시했으며, 수출량도 1.9배 증가했다.
브로콜리는 자체 육성한 ‘삼다그린‘과 ‘한라그린‘ 품종을 현장 보급(54ha)해 종자비를 30% 절감했고, 운송방법 개선으로 물류비도 32% 줄였다.
메밀은 연간 30ha 규모의 채종단지를 조성하고, 국산품종 점유율을 26%까지 높였으며, 메밀건면과 커피 등 가공제품을 개발해 특산화 기반을 마련했다.
비트는 면역증진 효과를 밝히고, 표준규격을 제정했으며, 20종의 레시피를 개발해 활용도를 높였다.
농업기술원은 또한 농식품 가공연구실과 스마트 하우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감압농축기, 동결건조기 등 96종의 장비를 도입해 연구 인프라를 확충했다.
제2차 계획에서는 투자 예산을 기존 67억 원에서 138억 원으로 2배 확대하고, 감귤, 키위, 브로콜리, 메밀 등 제주 대표 작목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강화한다.
주요 연구 방향은 기후변화 대응 품종 육성, 디지털 육종 및 스마트 관리기술, 부가가치 향상 가공기술 개발이다.
‘스마트 관리기술 및 표준 모델 개발(감귤, 키위)‘, ‘기후변화 대응 및 병저항성 품종 육종(브로콜리)‘, ‘기능성분 분석 및 제품 개발(메밀)‘ 등 지역 특성 맞춤형 연구과제가 2026년부터 기술개발 7과제와 기반구축 2사업을 중심으로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양석철 연구협력팀장은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을 통해 제주에 적합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농가소득 증대와 지역농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스포츠
[2025 렉서스 마스터즈] 이승택, 박상현, 함정우, 옥태훈, 최승빈, 전가람 ...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부산 사상구,‘신모라사거리 회전육교 및 휠체어 전용도로 준공식’개최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중소벤처기업부, 『코리아 그랜드 페스티벌』 소비의 즐거움이 두 배! 제2차 상생소...
프레스뉴스 / 25.10.29

정치일반
김민석 국무총리, APEC CEO Summit 2025 환영 만찬 축사, 글로벌 ...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동구-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 사내협력사협의회 일자리 창출 업무 협약
프레스뉴스 / 25.10.29

국회
구리시의회, '2025 지방자치 및 균형발전의 날' 성공적으로 마무...
프레스뉴스 / 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