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보험 1년 만에 또다시 적자… "높아지는 보험료 경쟁"

김담희 / 기사승인 : 2018-07-01 14:05:5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경쟁 심화로 자동차보험 보험료 규모 전년 동기대비 0.4%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이슈타임)김담희 기자=올해 자동차보험이 보험료 경쟁 심화 등의 영향으로 또다시 적자로 전환됐다. 19년 만에 흑자전환에 들어선 지 불과 1년 만에 다시 실적이 떨어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의무보험인 자동차보험에 대한 보험사 간 보험료 경쟁이 심해지면서 대물 보상제 개선 등 적자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보험연구원은 1일 '자동차보험 영업이익 적자전환의 원인과 전망' 보고서를 발표하며 자동차보험 영업이익은 올해 1분기 483억원 적자 전환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분기 907억원 흑자를 기록하면서 19년 만에 흑자로 전환하였지만 1년 만에 다시 적자전환이 된 것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보험 영업실적은 지난 1997년부터 1998년까지 평균 2831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하지만 1999년 4292억원 적자를 기록한 뒤, 2010년에는 1조5696억원으로 적자 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적자세는 지난 2016년 대물보상제도 개선 등으로 이듬해인 2017년 266억원 흑자를 기록하면서 끝나는 듯 보였다.

 

그러나 올들어 계절적 요인과 장례비·사망위자료 인상 등으로 손해율이 악화되면서 다시 적자로 돌아선 것으로 예측된다.

 

전용식 보험개발원 연구위원은 "자동차 보험료 경쟁이 심화되면서 자동차보험 보험료 규모도 전년 동기대비 0.4% 감소했다"며 "자동차보험은 의무보험이고 계약자들의 보험료 민감도가 크다는 점이 손보사 보험료 경쟁을 심화시킨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앞으로도 자동차보험 시장 경쟁은 계속해서 심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보험개발원은 지난 2005년 이후 손해보험 성장세를 주도했던 장기 손해보험과 당기순이익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자동차보험 시장 경쟁이 더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전 연구위원은 "손보사 간 보험료 경쟁은 소비자 입장에서 바람직한 현상"이라면서도 "보험금 원가를 고려하지 않은 과도한 인하경쟁은 보험사 적자심화 등으로 오히려 소비자에게 위험을 전가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