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관리법 본격 시행에 따라, 모든 건축물 철거·해체 신고 의무
동해시는 건축물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용가치를 유지·향상하기 위한 ‘건축물관리법’이 이달부터 본격 시행됨에 따라 앞으로 모든 건축물을 철거·해체할 경우 별도의 허가나 신고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기존에는 건축허가나 건축신고를 득한 건축물을 철거할 경우에만 건축물철거·멸실 신고서를 제출했으나, 지난 1일부터 새롭게 시행된 건축물관리법 제30조 규정에 따라 모든 건축물의 철거·해체 시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해야 한다.
신고대상은 주요구조부의 해체를 수반하지 아니하는 건축물의 일부 철거·해체 연면적 500㎡ 미만이고 건축물의 높이가 12m 미만인 지상층과 지하층을 포함해 3개 층 이하인 건축물의 전체 철거·해체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 지역 내 높이 12m 미만인 건축물의 철거·해체의 경우이며 이 외 건축물의 철거·해체는 허가 대상이다.
허가대상 건축물의 철거·해체 시에는 건축사, 기술사, 안전진단 전문기관 등 전문가로부터 사전 검토를 받은 건축물 해체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며 건축물 해체허가를 받지 않으면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또한 시는, 건설업자가 시공하는 건축물의 건축주는 건축물 사용승인 신청 시 건축물 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가연성 외장재 사용과 스프링클러 미설치로 화재 취약요건이 있는 3층 이상 피난 약자 이용시설의 관리자는 2022년까지 의무적으로 건축물 화재안전성능 보강공사를 마쳐야 한다고 밝혔다.
장한조 허가과장은“건축물관리법 시행으로 시민들의 절차 누락에 따른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동해시청
동해시는 건축물의 안전을 확보하고 사용가치를 유지·향상하기 위한 ‘건축물관리법’이 이달부터 본격 시행됨에 따라 앞으로 모든 건축물을 철거·해체할 경우 별도의 허가나 신고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기존에는 건축허가나 건축신고를 득한 건축물을 철거할 경우에만 건축물철거·멸실 신고서를 제출했으나, 지난 1일부터 새롭게 시행된 건축물관리법 제30조 규정에 따라 모든 건축물의 철거·해체 시 허가를 받거나 신고를 해야 한다.
신고대상은 주요구조부의 해체를 수반하지 아니하는 건축물의 일부 철거·해체 연면적 500㎡ 미만이고 건축물의 높이가 12m 미만인 지상층과 지하층을 포함해 3개 층 이하인 건축물의 전체 철거·해체 관리지역, 농림지역, 자연환경보전 지역 내 높이 12m 미만인 건축물의 철거·해체의 경우이며 이 외 건축물의 철거·해체는 허가 대상이다.
허가대상 건축물의 철거·해체 시에는 건축사, 기술사, 안전진단 전문기관 등 전문가로부터 사전 검토를 받은 건축물 해체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며 건축물 해체허가를 받지 않으면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또한 시는, 건설업자가 시공하는 건축물의 건축주는 건축물 사용승인 신청 시 건축물 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가연성 외장재 사용과 스프링클러 미설치로 화재 취약요건이 있는 3층 이상 피난 약자 이용시설의 관리자는 2022년까지 의무적으로 건축물 화재안전성능 보강공사를 마쳐야 한다고 밝혔다.
장한조 허가과장은“건축물관리법 시행으로 시민들의 절차 누락에 따른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이슈타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고창군, 한국세계유산도시협의회 제31차 정기회의 성황리 개최
프레스뉴스 / 25.10.17
사회
광양시, ‘전남 청년 희망 일자리 지원사업’ 참여기업 및 청년 모집
프레스뉴스 / 25.10.17
문화
산업도시 넘어 창의도시로…‘2025 광양 국제미디어아트 페스티벌’ 22일 개막
프레스뉴스 / 25.10.17
연예
‘백번의 추억’ 김다미-신예은-허남준, 그리고 양희승 작가가 직접 꼽은 명장면 다...
프레스뉴스 / 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