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연 2.5% '동결'…집값·가계대출 증가 부담

류현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0 11:37:0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10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연 2.50% 동결 결정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사진= 뉴스1)
[프레스뉴스] 류현주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10일 기준금리를 연 2.5%로 유지했다.

국내 경기 침체 우려가 계속되고 있지만, 서울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이 폭등하고 가계대출이 지난달 6조 원 이상 증가하는 등 금융 안정에 대한 우려를 고려한 조치다.

앞으로 금통위는 새 정부 경제 정책, 추가경정예산(추경), 대출 규제의 효과와 미국 관세, 한미 무역 협상 결과 등을 확인한 뒤 8월 인하를 저울질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은에 따르면 금통위는 이날 오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을 의결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과 11월 기준금리를 두 차례 연속 인하한 이후 올해 2월과 5월 추가 인하를 거쳐 총합 1%포인트(p) 인하를 단행했다.

기준금리 인하 뒤 한 차례 숨을 고르는 회기를 둔 셈이다.

이번 동결은 수도권 주택 시장 과열과 가계대출 증가 폭 확대 등 최근 커진 금융 안정 우려를 우선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한은이 지난달 말 펴낸 금융안정 보고서를 보면, 서울 주택매매가격은 2023년 1월부터 2025년 4월까지 16.1% 상승했다. 특히 최근 서울 강남 일부 지역의 아파트값 주간 상승률은 0.7%로 연율 기준 30%에 육박했다.

주택 시장 과열은 금융 불안 재확산 우려를 키운다. 지난달 은행 가계대출은 전월보다 6조 2000억 원 늘어나며 열 달 만에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이 같은 가계대출 증가는 올해 3~4월 주택 거래량 증가가 시차를 두고 반영된 결과로 해석됐다. 올해 5~6월 거래량이 미칠 영향 또한 확인할 시간을 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통위는 이 밖에 새 정부 경제 정책과 1~2차 추경의 성장·물가 영향 등 거시 경제 요인도 고려했다.

한은은 지난 5월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1.5%에서 0.8%로, 내년 1.8%에서 1.6%로 하향 조정했다. 내수 장기 부진과 탄핵 정국이 설상가상으로 겹친 가운데, 미국의 관세 부과 예고까지 나오면서 경기 하방 압력이 강해진 결과였다.

그나마 지난달 새 정부가 출범하고 2차 추경이 편성돼 경기 개선 기대감은 형성됐다. 그러나 한은은 2차 추경을 고려해도 올해 성장률은 1% 수준에 그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경기는 어렵지만 금융 안정 우려가 확산하면서 금리 인하가 지연된 상황은 지난해 하반기와 판박이다.

앞으로 금통위는 지난달 말 고강도 가계대출 규제의 효과와 함께 미국 관세 정책, 한미 무역 협상 결과, 추경 효과 등을 확인한 이후 다음 달 또는 10월 기준금리 인하를 저울질할 것으로 예상된다. 9월에는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가 열리지 않는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