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하반기 통화정책 완화기조 유지"

김혜리 / 기사승인 : 2018-06-12 10:41:2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사진=이슈타임DB)

(이슈타임 통신)김혜리 기자=12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하반기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국내 경제가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아직 크지 않아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한국은행 창립 68주년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이같이 말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금융 불균형이 커질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성장과 물가의 흐름,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와 금융안정 상황을 점검하면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판단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특히 금융안정에 대해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기초경제여건이 취약한 일부 신흥국의 금융·외환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내년 이후 적용할 물가안정목표에 대해서는 "물가안정목표를 어떻게 설정하고 어떤 방식으로 운용할 것인지는 중앙은행의 신뢰성과 경제주체의 기대인플레이션 안착 여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물가 흐름 및 성장, 물가 간 관계 변화 등을 분석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해서는 "북한 경제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앙은행에 요구되는 새로운 역할을 미리 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경제 성장세에 대해서는 고용부진 등 불확실성이 높긴 하지만 지난 4월 전망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상황이으로 진단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 4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올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3.0%로 전망한 바 있다. 다만 경제 성장을 제약하는 고용부진, 가계부채 부담 등 여러가지 구조적 문제를 지목하며 구조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고용부진은 일부 업종의 업황개선이 지연되고 있는 가운데 노동시장 이중구조 등 구조적 요인에 기인하고 있다"며 "소득에 비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 가계부채는 원리금 상환부담 증가로 소비를 제약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구조개혁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제주체간 갈등을 원활히 조정하고,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은행의 하반기 역점 추진사항으로 ▲ 물가안정목표 점검 ▲ 정책 커뮤니케이션 유효성 제고 ▲ 금융안정 유의 ▲ 새로운 경제 이슈에 대한 연구와 대응 등을 제시했다. 그는 “인사 등 내부경영에 관한 권한을 하부위임하고 보고 절차를 대폭 간소화했다”며 “제도가 사고와 행동을 지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도 제도 개선을 끊임없이 추진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