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연속 마른김 수출 1위...국제 마른김거래소 조성 박차
우리나라의 김 수출이 지난해 9억 9,700만 달러를 기록하며 2년 연속 1조 원을 돌파, ‘김 수출 1조 원 시대’라는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이 같은 김 산업 성장의 핵심 도시로 목포시가 주목받고 있다.
목포시는 2024년 김 수출액 1억 3,300만 달러를 달성하며 전국 지자체 중 수출 1위를 기록했고, ‘대한민국에서 김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2025년 1분기 김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2.8% 증가한 3,000만 달러로, 다시 한 번 전국 1위를 기록하며 명실상부한 김 산업 선도 도시의 위상을 입증했다.
이러한 성과는 목포시가 김을 수출전략형 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행정력과 지원을 집중해온 결과다.
시는 2022년,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가 전국 최초로 해양수산부 제1호 김 산업 전문기관으로 지정받아 김 산업 전문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기반 마른김 품질 등급 판별 솔루션 개발’ 사업에 선정돼, 약 3년간 마른김 품질 고도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25년 2월에는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인정을 획득하며, 수산식품 연구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렸다.
아울러, 목포시는 김 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국제 마른김거래소’를 준비 중이다.
시는 해양수산부와 전라남도의 지원을 받아 2026년까지 총 1,137억 원을 투입, 연면적 46,612㎡ 규모의 ‘수산식품 수출단지’를 조성 중이며, 이 단지 내에 ‘국제 마른김거래소’를 설립할 계획이다.
‘3년 연속 마른김 수출 1위 도시’인 목포는 한류 확산과 현지 조미김 업체의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확대에 힘입어, 전 세계 바이어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마른김거래소의 역할에 대한 기대도 함께 커지고 있다.
거래소는 김 유통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시는 앞으로도 김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며, 목포를 ‘세계 김 산업의 중심도시’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시 관계자는 “김 수출은 단순한 식품을 넘어 한국의 문화, 감성, 자부심을 세계에 전하는 일”이라며, “김 산업을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
▲ 김 가공 사진 |
우리나라의 김 수출이 지난해 9억 9,700만 달러를 기록하며 2년 연속 1조 원을 돌파, ‘김 수출 1조 원 시대’라는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이 같은 김 산업 성장의 핵심 도시로 목포시가 주목받고 있다.
목포시는 2024년 김 수출액 1억 3,300만 달러를 달성하며 전국 지자체 중 수출 1위를 기록했고, ‘대한민국에서 김을 가장 많이 수출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2025년 1분기 김 수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42.8% 증가한 3,000만 달러로, 다시 한 번 전국 1위를 기록하며 명실상부한 김 산업 선도 도시의 위상을 입증했다.
이러한 성과는 목포시가 김을 수출전략형 산업으로 육성하고자, 행정력과 지원을 집중해온 결과다.
시는 2022년, (재)목포수산식품지원센터가 전국 최초로 해양수산부 제1호 김 산업 전문기관으로 지정받아 김 산업 전문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AI 기반 마른김 품질 등급 판별 솔루션 개발’ 사업에 선정돼, 약 3년간 마른김 품질 고도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25년 2월에는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 인정을 획득하며, 수산식품 연구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렸다.
아울러, 목포시는 김 산업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국제 마른김거래소’를 준비 중이다.
시는 해양수산부와 전라남도의 지원을 받아 2026년까지 총 1,137억 원을 투입, 연면적 46,612㎡ 규모의 ‘수산식품 수출단지’를 조성 중이며, 이 단지 내에 ‘국제 마른김거래소’를 설립할 계획이다.
‘3년 연속 마른김 수출 1위 도시’인 목포는 한류 확산과 현지 조미김 업체의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확대에 힘입어, 전 세계 바이어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 마른김거래소의 역할에 대한 기대도 함께 커지고 있다.
거래소는 김 유통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핵심 기반시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시는 앞으로도 김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이어가며, 목포를 ‘세계 김 산업의 중심도시’로 성장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시 관계자는 “김 수출은 단순한 식품을 넘어 한국의 문화, 감성, 자부심을 세계에 전하는 일”이라며, “김 산업을 통해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문화
[김동선 뮤지컬소설 '휘몰이' 작가노트] '치유와 힐링, 쉼...
이경희 / 25.10.22
정치일반
안산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너와 나의 연결고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류현주 / 25.10.22
스포츠
[제네시스 챔피언십] 1R 조편성 발표… 옥태훈-임성재 맞대결, 안병훈-아담 스콧...
프레스뉴스 / 25.10.22
국회
용산구의회, ‘지속가능한 폐기물 처리 및 쓰레기 감량 결의안’채택
프레스뉴스 / 25.10.22
경제일반
중소벤처기업부, "여성기업을 통한 대한민국의 지속성장 실현" &...
프레스뉴스 / 25.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