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법무법인 THE FIRM 대표변호사 |
독립유공자 가족들의 월 개인 소득을 분석한 결과 200만원 미만 구간에 전체 75.2%가 몰려 있었는데, 독립유공자 본인(38.4%)보다 자녀(72.2%)와 손자녀(79.2%), 증손자녀(62.2%) 비율이 더 높아서 "가난이 대물림될 뿐 아니라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독립유공자 후손들의 교육 수준은 고졸이 25.7%로 가장 많았고, 이어 초졸(22.8%), 중졸(12.8%), 무학(4.7%)의 순으로써 교육기회 박탈이 이들을 우리 사회의 하층으로 내모는 주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뉴스타파’가 2015. 10월, 해방 70년 특별기획으로 연재한 기사(‘친일과 망각’)에서 대표적 친일후손 1,177명의 명단이 공개됐는데, 전·현직 국회의원 21명, 법조인 30명, 장·차관을 비롯해 1급 이상 공무원 42명, 대학교수 191명, 기업인 376명 등 사회 지도자층과 저명인사들이 수두룩 했다.
친일파 후손들의 거주지는 43%가 서울 강남3구이고, 한남동, 성북동, 평창동 등 서울의 부촌이나 분당 등 신도시에 사는 사람들도 많았으며, 친일후손 1,177명 중 3분의 1이 SKY(서울대·연세대·고려대) 출신이고 27%는 유학 경험이 있었다. 교육이 부모의 경제력에 의해 좌우되는 사회에서 두 세대동안 친일파 후손들은 친일로 얻은 재산을 자녀교육에 투자했던 것이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철승 변호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정치일반
이 대통령, 제13차 수석·보좌관 회의 주재 문화, 국력의 핵심···문화생태계 종...
프레스뉴스 / 25.10.13
스포츠
페럼클럽 ‘최다 우승자’ 함정우, ‘2025 렉서스 마스터즈’에서 3년 연속 우승...
프레스뉴스 / 25.10.13
사회
‘월 1만원 보금자리’ 전남형 만원주택 순항…고흥서 기공식
프레스뉴스 / 25.10.13
문화
소방청, 미래 재난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AI 전담조직 가동
프레스뉴스 / 25.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