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복지 사각지대 취약학생 지원 나서
‘희망학교&희망교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혜택을 받지 못하는 비사업학교 대상 지원사업으로, ‘희망학교’는 학교 단위 맞춤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이며, ‘희망교실’은 교사가 멘토가 돼 진행하는 사제 멘토링 활동으로 운영된다.
특히, 올해 희망교실은 기존 담임교사 중심의 학급단위 사제멘토링 활동에서 비담임교사(상담교사, 교과교사 등)도 학교 내 교육취약 학생을 위한 사제멘토링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동아리형을 신설해 폭넓게 교원이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이 사업은 2014년부터 시작돼 ‘희망학교’는 2014년 11교에서 18교로, ‘희망교실’은 20교실에서 234교실로 매년 참여학교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했고, 작년 한해 코로나 상황에서는 보살핌이 필요한 교육취약학생에게 맞춤형 지원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학교생활 적응력이 향상되는 성과를 거뒀다.
대전교육청 김종하 교육복지안전과장은 “희망학교&희망교실을 통해 교육취약 학생들의 꿈과 끼를 펼칠 수 있는 성장의 발판이 되길 바라며,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모든 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
▲ 사진=대전시교육청 |
[프레스뉴스] 최정현 기자= 대전시교육청은 교육복지 사각지대 취약계층 학생 지원을 위해 희망학교 18교, 희망교실 234교실(65교)을 선정하고 총 2억8000만원을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희망학교&희망교실’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혜택을 받지 못하는 비사업학교 대상 지원사업으로, ‘희망학교’는 학교 단위 맞춤형 교육복지 프로그램이며, ‘희망교실’은 교사가 멘토가 돼 진행하는 사제 멘토링 활동으로 운영된다.
특히, 올해 희망교실은 기존 담임교사 중심의 학급단위 사제멘토링 활동에서 비담임교사(상담교사, 교과교사 등)도 학교 내 교육취약 학생을 위한 사제멘토링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동아리형을 신설해 폭넓게 교원이 참여할 수 있게 됐다.
이 사업은 2014년부터 시작돼 ‘희망학교’는 2014년 11교에서 18교로, ‘희망교실’은 20교실에서 234교실로 매년 참여학교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했고, 작년 한해 코로나 상황에서는 보살핌이 필요한 교육취약학생에게 맞춤형 지원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학교생활 적응력이 향상되는 성과를 거뒀다.
대전교육청 김종하 교육복지안전과장은 “희망학교&희망교실을 통해 교육취약 학생들의 꿈과 끼를 펼칠 수 있는 성장의 발판이 되길 바라며, 교육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모든 학생들이 건강하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최정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국회
심민섭 장성군의회의장, ‘남도국제미식산업박람회 성공 개최 기원 챌린지’ 동참
프레스뉴스 / 25.10.15
경제일반
이복원 경제부지사, 충북과학기술혁신원 방문... 과학기술 혁신 현장 점검
프레스뉴스 / 25.10.15
문화
식품의약품안전처, 알가공업 시설기준 완화 등 합리적인 제도 개선 추진
프레스뉴스 / 25.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