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내년 식량부족분 100만t 달해, 김정은 정권들어 최대

김담희 / 기사승인 : 2015-10-29 14:37:1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가장 타격을 받는 쪽은 사회취약계층일 것으로 예상돼
29일 북한 농업전문가 김태준은 내년 북한의 식량난이 김정은 집권이후 최대 규모일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밝혔다.[사진=YTN]


(이슈타임)김현진 기자=북한의 내년 식량 부족량이 100만t으로 김정은 집권이후 최대 규모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9일 북한 농업 전문가 권태진 GS&J인스티튜트 북한동북아 연구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최소 소요량 540t에 비해 내년 식랼 100만t이 부족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북한의 식량 생산량이 작년보다 10% 감소할 거라는 자체 전망치를 토대로 이같이 추산했다.

김정은 집권 이후 올해까지 북한의 식량 부족분은 매년 40만&50만t 정도였다.

북한 식량난의 주된 원인은 가뭄 때문이다. 북한 당국도 올해 가뭄을 &100년 만의 왕가물(가뭄)&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다.

올해 이모작 및 가을 농사에 큰 영향을 주는 지난 5월만 놓고 보면 선봉과 김책시를 제외한 25개 관측지점의 평균 강수량이 평년의 55% 수준에 불과했다고 권 원장은 전했다.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곡물의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고 권 원장은 분석했다.

북한이 올해 1&9월 중국에서 수입한 곡물량은 총 3만80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30% 수준에 불과하며, 북중 관계 악화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권 원장은 식량 부족으로 가장 타격을 받는 쪽은 사회취약계층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시장이 활성화돼 있는 평양 등 대도시와 달리 지방도 피해를 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연금 수급자 등 취약계층과 지방 소도시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본다&면서 &하지만 과거 김정일 정권 때 비슷한 규모의 식량이 부족했을 때보다 충격은 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북한은 올해 7월 중순 들어 하루 식량 배급량을 250g으로 줄인 후 이달 들어서야 예년 수준인 380g으로 늘렸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같은 식량 배급량은 여전히 유엔의 1인당 하루 최소 권장량 600g에는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FAO는 최근 북한을 이라크, 시리아 등과 함께 외부 지원이 필요한 35개 식량부족국가에 포함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