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면증이나 수면장애 겪는 소방관 43.2% 이르러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소방공무원 5명중 1명꼴로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겪고 있어, 이는 일반인들보다 15배 높은 수치로 확인됐다. 김승섭 고려대 보건정책관리학부 교수는 국가인권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올해 3∼9월 소방공무원 82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19.4%가 우울 또는 불안장애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일반 노동자의 우울∼불안장애 비율(1.3%)과 견줘 약 15배에 이르는 수치다. 청력문제를 겪는 소방공무원도 전체의 24.8%로 일반인의 약 15배였다. 불면증이나 수면장애가 있다고 답한 소방관은 43.2%로 일반인의 20배에 달했다. 전신피로(57.5%), 두통 및 눈의 피로(52.4%)를 느끼는 소방공무원들도 많았다. 소방 업무가 위험한지를 묻자 전체의 93%가 ∼위험하다∼고 답했다.∼ 그 요인(복수응답)으로는 ∼인원 부족∼(77%)을 꼽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장비의 노후화∼(73.1%), ∼위험물질에 대한 정보 부족∼(50.7%), ∼건물 구조에 대한 정보 부족∼(46%) 등의 순이었다. 특히 장비 노후화에 대해 응답자의 33.2%(2천615명)가 최근 3년 사이에 장갑∼랜턴∼안전화 등 개인 안전장비를 자비로 구입한 적 있다고 털어놨다. 응답자 중 최근 한 해 동안 하루 이상 요양이나 병원치료가 필요한 부상을 입은 소방공무원은 1348명이었다. 그러나 실제 요양을 신청한 소방관은 225명에 그쳤으며, 이 가운데 요양 승인을 받은 것은 173명에 불과했다. 몸을 다친 소방관 중 공무상 요양 승인을 받은 이는 8분의 1 수준에 머무른 셈이다. 한편,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97.6%는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해 줄 대표기구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대표기구가 생기면 가입하겠다는 응답도 95%로 매우 높았다. 이와 관련, 김 교수는 ∼유럽에는 다양한 소방 노동자 조직이 있다∼며 ∼소방공무원의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을 가진 대표기구를 구성하고 가입을 허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실태조사 내용은 인권위가 이날 오후 3시 서울 저동 인권위 배움터에서 여는 ∼소방공무원의 인권상황 실태 파악 및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에서 발표된다. 인권위는 전문가 의견 수렴을 거쳐 소방공무원의 안전권, 건강권, 노동권을 개선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12일 김승섭교수는 소방공무원들의 5명 중 1명이 우울증과 불안장애를 겪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문화
구로구체육발전협의회, '제10회 명품 구로올레길 걷기 대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관악구, '2025 대한민국 식생활교육대상' 대상(大賞) 수상으로 ...
프레스뉴스 / 25.10.29

문화
성남시, 필로스 장애인 무용단 31일 성남아트리움서 '천사들의 날갯짓...
프레스뉴스 / 25.10.29

국회
경기도의회 윤태길 의원, '공공형 어린이집은 경기도 보육의 중추'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고양시, 시의회 잇단 비협조로 국제행사 신뢰도 '흔들'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강남구, 세계 아동의 날 맞아 아동권리증진 그림 공모전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