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로 가계도 분석해 확인…자연방사 곰의 '손주'로 추정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지리산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 1마리가 추가로 발견됐다. 이로써 현재 지리산에 사는 것으로 확인된 반달곰은 총 39마리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작년 9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포획한 반달가슴곰 1마리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그동안 파악되지 않은 개체로 확인됐다고 3일 밝혔다. 새로 확인된 곰은 체중 60㎏인 3년생(2013년 출생 추정) 수컷이다. 유전자 분석을 통해 아빠 곰은 2005년 방사된 러시아산으로 파악됐다. 엄마 곰의 경우 기존 반달곰의 유전자 데이터베이스(DB)에선 일치하는 유전자가 없다. 공단이 방사한 곰은 아니라는 얘기다. 토종 야생곰이거나 인근 지역 사육곰일 가능성도 거의 없다. 이런 곰은 종이 달라서 이번에 발견된 반달곰을 낳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엄마 곰은 지리산에 방사된 곰들이 야생에서 낳은 '자연출산 1세대'로, 이번 새끼 곰은 그런 어미가 낳은 '손주세대'로 추정된다. 곰은 태어난 지 5년 이후부터 새끼를 출산할 수 있다. 반달가슴곰은 밀렵, 서식지 단절 및 파괴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해 멸종위기종 1급 및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지정됐다. 공단은 2004년부터 러시아와 북한에서 반달곰을 도입해 지리산에 방사했다. 이후 개체 수가 늘어나 모든 곰을 추적하기가 어려워졌고, 야생성이 높아져 직접 포획도 쉽지 않다. 이에 따라 공단은 2013년부터는 반달곰의 모근, 배설물 등에서 DNA를 추출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식별하는 방법을 쓴다.
마취된 새끼 반달가슴곰 진료 장면.[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금융
하나금융그룹, 금융권 최초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금융산업 소비자보호...
류현주 / 25.10.26

경기남부
안산시, 직업교육 혁신지구지원센터 개소… 로봇 미래 인재 양성
장현준 / 25.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