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약, 척추골절 악화시킬 수 있다"

김담희 / 기사승인 : 2016-01-06 14:56:2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척주골절, 추 주변 조직이 죽어 척추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 의미해
6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영훈·하기용 교수팀 연구결과 골다공증약이 척추골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결과를 발표했다.[사진=연합뉴스]


(이슈타임)김현진 기자=뼈에 구멍이 생기는 골다공증 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이 오히려 척추골절을 악화 시킬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6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영훈·하기용 교수팀은 골다공증성 척추골절 환자 105명을 골 흡수억제약 복용 그룹(66명)과 비복용 그룹(39명)으로 나눠 골절 발생 후 3개월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를 보면 골흡수억제약 복용 그룹의 척추체 균열 위험은 비복용 그룹보다 4.8배 높았다.

X-선 검사에서도 골다공증약 복용 과거력이 있는 환자의 30%(20명)에서 척추체 균열이 관찰됐다. 반면 복용 과거력이 없는 환자의 척추체 균열은 20.5%에 머물렀다.

척추체 균열은 골다공증성 골절이 생긴 환자가 정상적으로 뼈가 붙지 못하고 척추 주변 조직이 죽어 척추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균열이 심하면 아예 골절치료가 어려워진다.

의료진은 골흡수억제제가 정상적인 골절 치유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는 만큼 골다공증성 척추골절의 초기 치료시 골흡수억제약보다는 골형성촉진제를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김영훈 교수는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대한척추외과학회 학술대회에서 골흡수억제약물 사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라며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을 예방하려면 40대 이전에 유산소 운동, 충분한 영양공급, 주기적인 골다공증 검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골다공증학회지(Osteoporosis international) 최근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