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력으로 볼 때 실패한 '증폭핵분열탄' 실험"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지난 6일 북한이 진행한 핵 실험에 대해 우리 군과 정보 당국이 수소폭탄 실험이 아니라 그보다 위력이 약한 '증폭핵분열탄'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7일 정보 당국 관계자는 '북한이 전날 터트린 핵폭탄의 폭발 위력은 6kt에 불과했기 때문에 만약 증폭핵분열탄을 실험했다면 그 위력으로 볼 때 실패한 것이나 마찬가지로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폭발 위력 6kt는 수소폭탄 근처에도 못 가는 정도'라며 '증폭핵분열탄으로 실험을 했다면 3차 핵실험 위력(6~7kt)의 2~5배는 되어야 하는 데 그렇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당국은 북한의 이번 4차 핵실험이 3차 핵실험 때의 기술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 것으로 분석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번 핵실험은 지난달 15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명령을 하달한지 22일 만에 이뤄지는 등 준비기간이 짧았다'면서 '3차 핵실험 때와 같은 기술 수준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군과 정부는 이번 핵실험이 북한이 발표한 '수소폭탄'에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함에 따라 일단 유엔의 제재 논의 움직임을 관망하면서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간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핵실험은 대북 심리전 방송을 재개할 수 있는 '비정상적인 사태'인데도 심리전 방송 재개를 즉각 결정하지 않은 것도 이런 방침 때문으로 전해졌다. 다만 북한이 유엔 제재 논의에 반발해 군사적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 격상된 대북 경계'감시태세를 계속 유지하면서 북한군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특히 북한의 장거리로켓 발사대가 있는 서해 동창리 일대에 대해서도 감시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의 한 관계자는 '현재 북한군은 동계훈련 중이고 특이한 징후는 아직 포착되지 않지만, 기습적인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경계를 강화했다'면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 주변에도 특이한 징후는 없다'고 전했다.' 한편 합참은 전날 낮 12시 부로 초기대응반을 소집하고 전군 경계태세를 격상한 상태다.
우리 정보 당국이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해 수소폭탄이 아니라는 평가를 내렸다.[사진=New York Times]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안산시, 직업교육 혁신지구지원센터 개소… 로봇 미래 인재 양성
장현준 / 25.10.25

사회
대구서부교육지원청, ‘서부 가족과 함께하는 학부모 과학교실’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