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글로벌 금융위기 후 최대폭 상승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지난해 서울 지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이 매매가 상승분의 2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매맷값은 3192만원 올랐고, 전셋값은 거의 두 배 수준인 5665만원 뛴 것이다. 전셋값은 관련 통계를 알 수 있는 2011년 이후, 매매가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이래로 가장 많이 올랐다. 11일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작년 1월 말 3억1864만원에서 12월 말 3억7800만원으로 5665만원 뛰었다. 반면에 평균 아파트 매매가는 같은 기간에 3192만원 올라 전셋값 상승분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매매가보다 전셋값의 상승폭이 커진 영향으로 서울지역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율)은 조사가 시작된 1998년 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70%를 돌파했다. 서울지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2012년 645만원 오르는 데 그쳤지만 2013년(2천212만원)과 2014년(2189만원)에는 상승폭이 2000만원대를 넘어섰다.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도 지난해 2638만원 뛰어 540만~1300만원 정도이던 2012~2014년의 연간 상승폭을 압도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다음으로는 경기지역의 아파트 전셋값이 평균 3천96만원 올랐다. 6대 광역시 가운데는 대구(3038만원)가 가장 많이 올랐고, 그다음이 인천(2712만원), 광주(1465만원), 부산(1434만원), 울산(1280만원), 대전(376만원) 순이었다. 광역시 중 평균 전세가격이 가장 높은 곳은 대구로 1억9898만원이었다. 제일 낮은 곳은 1억4209만원인 광주다. 전세가격만큼 폭등하진 않았지만 아파트 매매 평균 가격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많이 뛰었다.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014년 2억7028만원에서 지난해 2억8919만원으로 평균 1891만원 올랐다. 이는 관련 통계를 수집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연간 상승폭으로는 가장 크다. 서울과 경기, 대구 지역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작년 한 해 동안 4억9283만원에서 5억2475만원으로 3192만원 올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2009년 2000만원 정도 오른 후 1000만원 안팎을 오르내리다가 2012~2013년 2년간 5179만원 하락했다. 2014년 상승세(736만원)로 반전해 지난해 본격적으로 우상향 곡선을 그렸다. 작년 경기도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억7810억원에서 2억9529만원으로 1719만원 상승했다. 지방 광역시 중에는 대구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2억2621만원에서 2억6394만원으로 3314만원 올라 전국 광역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이 뛰었다. 특히 대구는 KB국민은행이 조사를 시작한 2011년 6월 이후 6대 광역시 중에서 유일하게 매월 가격이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글로벌 금융위기 후 최대폭 상승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안산시, 직업교육 혁신지구지원센터 개소… 로봇 미래 인재 양성
장현준 / 25.10.25

사회
대구서부교육지원청, ‘서부 가족과 함께하는 학부모 과학교실’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4

사회
대구시교육청, APEC K-EDU EXPO에서 ‘대구 마음교육’세계에 알린다.
프레스뉴스 / 2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