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대도 118명…은퇴 후 '제2직업' 택시운전 선택 늘어
(이슈타임)정영호 기자=팔순을 앞둔 배재환(77)씨는 하루에 8'10시간 택시를 운전한다. 1965년부터 택시업계에 종사해왔고 개인면허도 갖고 있지만 지금은 법인택시 영업을 한다. 배씨는 '건강하지 못하면 이 일을 할 수 없어 산에도 다니고 관리한다. 힘든 걸 전혀 못 느낀다'고 말했다. 서울시내 '할아버지 택시기사'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전체 기사 4명 가운데 1명꼴이다. 17일 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시내 택시 운수종사자 총 8만5972명 중 65세 이상은 2만1320명으로 전체의 25%를 차지한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3만3908명으로 전체의 41.7%를 차지해 가장 많다. 다음으로 60대(3만4215명'37%)와 40대(9344명'11.9%)가 뒤를 잇는다. 20대는 27명뿐이다. 이에 비해 80대 이상 운전자는 20대의 4배가 넘는 118명이다. 70대 운전자도 7561명(8.7%)으로 30대(799명'1.1%)보다 훨씬 많다. 건강 상태가 양호한데 일찍 정년을 맞아 은퇴한 사람들이 '제2의 직업'으로 택시 운전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다. 직장 생활을 끝내고 5개월 전 택시업계에 뛰어들었다는 이일렬(67)씨는 법인택시나 개인택시는 자신이 없었지만 최근 출범한 택시협동조합을 보고 바로 가입했다. 운전자들이 사주인 택시협동조합은 노란색의 '쿱' 택시를 선보여 최근 호평을 받고 있다. 기사들이 사납금 걱정 없이 내 회사라고 생각하고 운행하기 때문에 안전도와 서비스 수준도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령 운전자를 우려하는 일부의 목소리도 있다. 고령 운전자들은 심야 운전을 꺼리고 사고를 낼 확률도 높다는 부정적 시선 때문이다. 운전자 평균 연령이 60.4세인 개인택시는 심야 휴무율이 52%로 절반이 넘고,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 택시 교통사고 중 65세 이상 운전자 비율은 22.2%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이러한 환경을 반영해 고령자의 운전면허 갱신 기간을 5년에서 3년으로, 적성검사 연령을 70세에서 65세로 단축하고 안전교육을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법 개정을 건의해왔다. 그러나 은퇴 후 제2일자리를 찾는 '건강한 노인'이 증가해 택시 운전자 고령화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은퇴 후 '제2직업' 택시운전 선택 늘었다.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사임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안산시, 직업교육 혁신지구지원센터 개소… 로봇 미래 인재 양성
장현준 / 25.10.25

사회
대구서부교육지원청, ‘서부 가족과 함께하는 학부모 과학교실’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