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학생들, 호기심으로 선정적·폭력적 소재 접촉
(이슈타임)박혜성 기자=대부분의 청소년들은 SNS를 통해 부적절한 콘텐츠를 접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4일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서울대 산학협력단에서 제출받아 공개한 '청소년 방송'통신 콘텐츠 이용 실태 분석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79%의 청소년은 SNS를 주요 경로로 이용해 최근 1년 이내에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콘텐츠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의 77%는 선정적인 콘텐츠를, 72%는 허위광고와 같은 상업적 콘텐츠를, 53%는 자살이나 범죄와 같은 정보와 불법 유해 물품 정보에 대한 콘텐츠를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다른 사람의 신상정보나 특정 집단 비하와 같은 권리침해 콘텐츠를 본 경험이 있다는 청소년도 81%에 달했다. 이들 불법'유해 콘텐츠를 접한 주요 경로는 SNS로, 폭력적 콘텐츠 노출 경험자의 70%, 선정적 콘텐츠 경험자의 61%, 권리침해 콘텐츠 경험자의 72%가 SNS를 통해 이들 콘텐츠를 봤다고 답했다. 선정적 콘텐츠 경험자의 74%, 권리침해 콘텐츠 경험자의 73%는 이들 콘텐츠를 본 이유로 '호기심'을 꼽았고, 전체 응답자의 80%는 불법'유해 콘텐츠를 보고 아무 생각 없이 지나쳤다고 답했다. 보고서는 '청소년의 불법'유해 콘텐츠 접촉을 줄이기 위해 규제 중심의 정책보다는 미디어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리터러시(다양한 매체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 교육이 필요하다'고 평가하며 '정확한 불법'유해 콘텐츠 측정을 위해 상시적 모니터링 등도 주기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 설문조사는 지난해 11월 6'16일 전국의 만 14'18세 청소년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청소년 10명 중 8명은 SNS로 부적절한 콘텐츠를 본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사진=YTN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대구서부교육지원청, ‘서부 가족과 함께하는 학부모 과학교실’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