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간부, 외교관 등 엘리트층 탈북 급증
(이슈타임)강보선 기자=북한에서 대남 공작업무를 담당하던 북한 정찰총국 출신 군 간부가 지난해 탈북해 한국으로 망명한 것이 뒤늦게 알려졌다. 11일 연합뉴스는 대북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정찰총국에서 대남공작 업무를 담당하던 A 대좌가 지난해 국내에 입국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대좌는 한국군의 대령에 해당하지만 정찰총국 대좌의 경우 인민군 일반부대의 중장(별 2개·우리의 소장)급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직위다. 특히 북한군 장성이 탈북해 국내에 입국한 사례는 아직 없는 것으로 알려져 이번 소식은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 · 이 소식통은 ·A 대좌는 지금까지 인민군 출신 탈북민 중 최고위급으로, 북한 정찰총국의 대남공작 업무에 대해 상세히 진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찰총국은 김양건 노동당 비서의 후임으로 대남담당 비서와 통일전선부장을 맡게 된 김영철이 이끌던 조직이다. 북한은 지난 2009년 2월 대남·해외 공작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기존 인민무력부 산하 정찰국과 노동당 산하 작전부, 35호실 등 3개 기관을 통합해 정찰총국을 신설했고, 군부 강경파로 알려진 김영철을 당시 정찰총국장에 임명한 바 있다. 특히 정찰총국은 편제상 총참모부 산하 기관이지만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게 직보하는 북한 인민군의 핵심 조직이다. 북한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북·중 접경지역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면서 탈북자 수는 감소했지만, 북한 엘리트층의 탈북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북한 내 엘리트층인 외교관들이 잇따라 탈북해 국내 입국한 사실도 뒤늦게 확인됐다.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작년 5월 아프리카 A국 주재 북한 외교관이 탈북해 부인, 두 아들과 함께 국내 입국했다·고 밝혔다. 이 외교관은 숙청 등 신변 위협이 두려워 한국행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재작년에는 동남아 주재 북한 외교관이 탈북해 국내 입국한 사례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7일 국내 입국한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13명도 외화벌이 일꾼으로 출신 성분이 좋고 북한 내에선 중산층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軍 고위 간부가 지난 해 탈북해 한국으로 망명한 것이 뒤늦게 알려졌다.[사진=Wall Street Journal]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대구서부교육지원청, ‘서부 가족과 함께하는 학부모 과학교실’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4

사회
대구시교육청, APEC K-EDU EXPO에서 ‘대구 마음교육’세계에 알린다.
프레스뉴스 / 2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