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별장 옆 쥐가 발견되는 한편 공장 안팎에 썩은 밀가루 포대 발견돼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신송사업이 썩은 밀가루를 원료로 사용해 논란이 된 가운데 신송사업에서 원료를 납품 받은 농심에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지난달 27일 MBC는 단독보도를 통해 충남 논산에 위치한 한 산업이 썩은 밀가루로 전분을 사용한 사실이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권익위)를 통해 밝혀져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고 보도했다. 보도 당시 노출된 공장의 위상상태는 엉망진창이었다. 전분을 만드는 선별장 옆에 어린 아이 주먹 크기의 쥐가 있는 가하면 공장 안팎으로 곰팡이가 잔뜩 핀 썩은 밀가루가 방치돼 있었다. 해당 산업 직원 A씨는 (회사가 썩은 밀가루를 폐기처분하지 않고 썩은 것과 좋은 것을 선별해 상태좋은 것은 컨베이어에서 자동으로 투입시키고 썩은 것은 수동으로 사람이 발로 밟아 투입해 (생산)했다 고 말했다. 관련 제보를 받은 권익위는 충남 논산시 소재 전분가공업체 신송사업 공장에서 전분 재료인 밀가루 중 일부는 썩고 곰팡이가 핀 상태로 방치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신송사업측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아직 사실로 드러나지 않은 부분이 마치 사실인 것처럼 보도돼 당혹스럽다 며 유관기관들의 조사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섣불리 판단하지 말아달라 고 입장을 표명했다. 그러나 권익위를 통해 신송산업이 썩은 소맥 전분 사태가 확인된 만큼 철저한 조사와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신송사업에서 만든 소맥 전분을 유통받는 대형 식품 업체들이 눈길을 끌고 있다. 특히 이 중 라면 업계 부동의 1위인 농심에도 문제의 원료가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에 주목되고 있다. 하지만 농심쪽에서는 어떠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가운데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한 전분제조업체가 썩은 밀가루로 전분을 만들어 논란이 일어난 가운데 이를 납품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대기업이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안양시 명예시민’ 가와시마 상임고문, 안양시인재육성재단에 100만엔 기부
장현준 / 25.10.24

정치일반
경기도의회 교육기획위원회, 경기도교육청 2026년 세입세출예산안 사전설명회 개최
류현주 / 25.10.24

사회
“함께 날아오르다!” 증평군장애인복지관, 2025년 나래핀 축제 성료
프레스뉴스 / 25.10.24

국회
경기도의회 홍원길 의원, 향산초중 외벽 방수공사 예산확보 후 후속점검 나서…
프레스뉴스 / 25.10.24

광주/전남
서삼석 의원,“온라인 마권 구매 2년, 불법 리딩방 단속 필요”
강래성 / 25.10.24

문화
구리시, 2025 한겨레 지역회복력 평가 전국 226개 지자체 중 사회영역 1위 ...
프레스뉴스 / 25.10.24

사회
과천시, 민간데이터 접목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스마트 행정 본격화
프레스뉴스 / 25.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