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분 취소·무혐의 결정에도 교수들 복직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원주 상지대 학내 갈등이 장기화 되면서 학교 구성원들간의 갈등이 깊어지면서 학부모들은 물론 지역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상지내 학내 분규사태는 김문기 전 총장의 문제에서 시작됐다. 김 전 총장은 과거 상지대 재단 이사장 시절 공금횡령, 부정입학 등 혐의로 기소돼 지난 1994년 대법원에서 부정입학 비리가 인정돼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 받고 이사장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2014년 8월 김 씨가 다시 총장으로 상지대에 복귀하자 학생들과 교직원, 교수들이 김 총장의 해임을 요구하는 집회와 수업 거부 등 각종 분규에 휩싸였다. 김 총장은 복귀한지 11개월 만에 다시 교육부 감사에서 교육용 재산을 부당하게 사용한 점이 드러나 지난해 7월 총장직에서도 해임됐다. 그러나 김 전 총장은 재단이사진과 보직교수들을 친익척 등 측근으로 임명하고 실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비판들이 많다. 학교 내에서 김 전총장이 학교 관계자들과 협의하는 모습들이 자주 목격되는 등 최근 탐사보도 전문 뉴스타파 취재진에게 포착되기도 했다. 지난 18일 서울고법 춘천 제1민사부는 김문기 총장 퇴진 운동을 벌인 상지대 총학생회 무기정학 처분 소송과 관련해 항소심에서 법원이 학생들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 이들은 '구 재단'과 '신 재단'의 첨예한 대립과 갈등 속에 구재단 측인 김문기 총장의 퇴진 운동을 벌렸다. 지난 4월29일엔 강원지방노동위원회에 의해 상지대 재단에 비판적인 활동을 한 상지대 노동조합 간부에 대한 전보 처분이 부당하다는 판단이 나왔다. 2014년 김 전총장이 복귀한 후 구 재단 복귀 반대에 앞장섰던 교수들과 직원들에 대한 파면과 해임 외에 정직, 감봉 등 징계를 받거나 재임용'재계약 거부사태가 줄을 이었다. 교수협의회 정대화교수 등 40명 가까운 교수와 교직원들이 징계를 받았고 재단 측이 학교 구성원을 상대로 제기한 고소'고발도 30건이 넘었다. 김 전 총장에 대해 반대하는 학교 구성원들에 대한 학교 측의 보복성 인사 및 법적 대응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교원소청위와 검찰 수사등을 거쳐 모두 처분 취소나 무혐의 결정이 났음에도 불구하고 교수들의 경우 복직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사태 원인이 김 전 총장이 영향력을 행사하는 재단 이사진들이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교육부가 직접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교수협의회 정대화교수는 '학교가 어수선하다. 학교의 대외 지명도는 바닥까지 추락하고 있으며 각종 사업마다 교육부로부터 탈락해 되는 일이 없을 정도다'라며 교육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감사를 통해 임시이사 파견 등 책임 있는 조치에 나서야 한다' 고 주장한다. 정성훈 총학생회장 역시 '학생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학생들의 뜻을 모아 끝까지 싸울 것'이며 '이 사태의 모든 책임은 보직교수를 포함 상지학원 이사진들과 외면하고 있는 교육부에 있다'며 관리당국의 안일한 대처에 불만을 토로했다
상지대학교내에서 발생한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학부모들은 물론 지역사회 우려까지 높아지면서 교육부의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반도체는 구미에서!… SEDEX 2025서 투자유치 총력전
프레스뉴스 / 25.10.22
경제일반
남양주시, 대진대학교와 AI 산업클러스터 조성 업무협약 체결
프레스뉴스 / 25.10.22
사회
박강수 마포구청장, 서울디자인고 글로벌 디자인 페스타 패션쇼 참석
프레스뉴스 / 25.10.22
사회
인천동구, ‘해사법원 제물포구 유치 토론회’ 성황리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