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문미리 등록하는 '사전등록제'로 실종 아동 31% 감소

김담희 / 기사승인 : 2016-05-25 10:55:3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제도홍보 부족으로 271만3244명만 사전등록 돼있어
25일 실종아동의 날을 맞아 복지부와 경찰청은 '사전등록제'가 아동 실종신고률를 낮춰준다고 밝혔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이슈타임)윤지연 기자=아동이나 장애인, 치매 환자의 지문이나 얼굴의 정보를 미리 입력해두는 '사전 등록제' 덕분에 찾아낸 실종자가 179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실종아동의 날'을 맞아 '사전 등록제가 도입된 2012년 이후 실종 신고 접수가 14.6% 감소했다'고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사전등록률이 29.5% 수준인 아동의 경우 실종 건수가 제도 도입 이전에 비해 31% 줄었다.특히 나중에 등록정보를 활용해 발견한 실종 아동 역지 105명에 달했다. 지적장애인 등 63명, 치매환자 11명도 사진 등록 정보를 통해 발견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실종아동 문제는 예방이 최우선'이라며 '초기단계에서 신속하게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사전등록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이후 실종 신고 접수된 18세 미만 아동은 9만 7679명에 이르고 이 가운데 107명은 여전히 행방을 찾을 수 없는 실정이다.

상황이 이러한데도 제도 홍보 등의 부족으로 등록 대상 아동 971만 7325명 가운데 29%인 271만3244명만 사전 등록을 마친 상태다.

이에 따라 당국은 실종아동전문기관 및 기업 6곳과 함께 민간협력단을 운영하는 등 제도 홍보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실종아동의 날'은 1979년 5월 25일 미국 뉴욕에서 6살짜리 어린이가 등교 도중 유괴 당해 살해된 사건을 계기로 1983년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처음 제정했다.

이후 캐나다와 유럽 여러 나라에서 동참하기 시작했고 우리나라도 2007년부터 이날을 한국 실종아동의 날'로 정해 행사를 열고 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