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괌 사드 포대 전자파 측정 결과 '방통위 인체보호 기준치의 0.007% 수준'

박혜성 / 기사승인 : 2016-07-19 09:38:2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일상생활에서도 나올 수 있는 거의 미미한 수준만 검출"
괌 사드 기지의 전자파 측정 결과 일상생활에서도 나올 수 있는 수준의 전자파만 검출됐다.[사진=YTN 뉴스]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사상 최초로 공개된 미군 괌 사드 포대 레이더의 전자파 측정 결과 인체보호 기준치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8일(현지시간) 미국은 세계 최초로 괌 앤더슨 공군기지에 배치된 사드 기지를 한국 국방부 관계자들과 언론에 공개했다.

미군 측은 이날 사드 기지를 공개하면서 경북 성주 지역에 배치되는 사드 포대의 안전 기준을 괌 기지와 동일한 수준으로 하고, 안전구역이 제대로 설정되는지 철저히 검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미군 측은 한국내에서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는 점을 의식해서인지 한국군 관계자가 휴대용 전자파 측정기를 기지내로 반입해 자체 측정하는 것도 허용했다.

이날 우리 군이 실시한 괌 사드기지 레이더 전자파 측정은 레이더(AN/TPY-2)로부터 1.6㎞ 떨어진 훈련센터내 공터에서 이뤄졌다.

이는 사드가 배시될 성주포대에서 민가까지의 거리가 약 1.5㎞ 떨어져 있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우리 공군 7전대에서 전파관리업무를 하는 현역 장교(소령)가 레이더 가동 6분 후부터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최대치는 0.0007W/㎡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 방송통신위원회 전자파 인체보호 기준치인 10W/㎡의 0.007% 수준이었다. 평균치는 0.0003W/㎡로 나타났다.

군 관계자는 "기준치의 0.007%이 의미는 일상생활에서도 나올 수 있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는 "레이더와 측정지역까지의 표고가 제로이고, 위성관측 레이더가 많아 측정에 불리한 조건이었지만 거의 미미한 수준으로 검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미군 관계자는 한미 공동실무단이 성주포대와 유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 고도 350m에 레이더를 설치하고 5도 각도로 레이더 빔을 발사한 것을 가정해 시뮬레이션했던 결과도 처음 공개했다.

그에 따르면 이런 조건일 때 지상인원통제구역인 100m에서 레이더 빔이 접촉할 수 있는 지상에서의 높이는 359m, 지상장비설치 제한구역인 500m에서는 394m, 비통제인원 출입제한구역인 3600m에서는 664m, 5500m에서는 787m다.

이들 높이 아래에 있는 인체에는 레이더 빔이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군 관계자는 "미국은 장병들이 레이더와 근접해 생활하고 있고, 기지 인근 주민들을 보호해야 하기 때문에 (해외 사드기지 설치 과정은) MDA(미사일방어국)의 사후 검증작업을 거친다"면서 "한국의 배치지역에 대해서도 안전구역이 제대로 설정되도록 제대로 검증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버트 헤드룬드 주한미군 기획참모부장(해병 소장)은 "사드 포대는 운용자와 장병,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해치지 않는다"면서 "괌 기지에 적용되는 안전기준은 미국 정부 기준보다 높다. 괌 기지의 안전기준을 한국에도 그대로 적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괌 기지를 방문할 수 있도록 한미는 몇 주간, 불과 몇 시간 전까지 많은 노력을 했으며 절대 허용하지 않고 있는 사드 포대를 이번에 공개한 것은 정말 중요한 일이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