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6.7%가 무보수로 한 달 평균 53시간 초과근무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일주일 중 평균 3.6번의 야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온라인 취업 포털 사람인은 직장인 1698명을 대상으로 야근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 10명 중 8명이 빈번하게 야근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평균 야근시간은 3.7시간이었으며, 이를 환산하면 한 달 평균 초과근무 시간은 53시간에 달한다. 그러나 야근 수당을 받는 직장인은 절반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야근 일수별로 나눠보면 주말을 제외한 5일 내내 야근하는 경우(28.3%)가 가장 많았고 3번(19.4%) 4번(16.2%) 2번(15%) 1번(12.5%) 순으로 뒤를 이었다. 또한 직장인들은 임원급(50%)을 제외한 과장(86.5%) 대리(86.2%) 사원(78.3%) 부장(76.8%)급 등 직급을 가리지 않고 야근을 하고 있었다. 요일별로도 금요일(52.8%)을 제외한 모든 요일에서 야근이 잦았다. 직장인들이 야근을 하는 이유로는 ▲ 업무량이 많아서 (54.1% 복수응답), ▲ 업무 특성상 어쩔 수 없어서(38.8%), ▲ 야근을 강요하는 분위기여서 (34.5%), ▲ 업무 분장이 제대로 안 돼서 (22.2%), ▲ 상사가 퇴근해야 퇴근할 수 있어서 (21.3%), ▲ 퇴근 시간 임박한 업무 요청이 많아서 (21.1%) 등의 답변이 나왔다. 하지만 이들 중 56.7%(복수응답)는 야근 보상을 전혀 받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상을 받는 직장인들은 회사로부터 야근 식대 27.1%, 수당 19.8%, 교통비 7.6%씩의 지원을 받았다. 아울러 잦은 야근 때문에 이직이나 퇴사를 고려하는 경우도 과반수가 넘는 것(65.2% 복수응답) 조사됐다. 실제로 회사를 옮긴 경우도 32.8%나 됐다. 직장인들의 81.6%는 지나치게 많은 야근 때문에 만성피로 등 각종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일주일 중 평균 3.6번 야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문화
문체부 대표 누리집 복구 완료, 10월 20일부터 정상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외교부,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관련 본부-공관 합동 상황점검회의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고용노동부, “현장실습생이 꼭 알아야 할 산업안전수칙, ‘이러닝’을 통해 쉽게 배...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중앙정부-지자체, 전국에 있는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힘 모은다!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자살예방을 위한 서울 동작구 현장간담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경남
사천시, 가족의 소중함과 화합을 담은 ‘2025 사천모든가족축제’ 성황리 개최
정재학 / 2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