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전체 상속재산은 13조원 돌파, 역대 최고 수준
(이슈타임)권이상 기자=지난해 연간 전체 상속재산은 13조원을 돌파하며 수십억대의 재산을 상속 받은 이가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31일 국세청의 국세통계 조기공개 자료를 보면 2015년 상속세 신고로 집계된 총 상속재산가액 등은 전년보다 21.7% 증가한 13조1885억원이었다. 총 상속재산가액이란 피상속인(사망한 사람)이 남긴 본래의 상속재산은 물론 보험금 신탁재산 퇴직금과 부동산, 유가증권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물건과 권리를 모두 돈으로 환산해 더한 금액이다. 2012 2014년 각각 10조원대 수준이었던 총 상속재산가액은 지난해 들어 큰 폭으로 뛰었다. 이로인해 작년 상속세 신고세액도 사상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선 2조1896억원으로 집계됐다. 피상속인 수는 13.7% 늘어난 5452명이었다. 피상속인 1명이 물려주는 평균 재산도 큰 폭으로 늘었다. 2014년 총 상속재산가액이 20억원을 넘는 피상속인은 1619명이었는데, 1년 뒤인 2015년에는 1785명으로 10.3% 증가했다. 같은 기간 100억원 초과 상속은 35.8% 늘었고(167건), 500억원 초과 상속은 무려 80.0%나 급증했다(18건). 상속 중에서도 고액 자산가의 상속이 늘었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세무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지난해 부동산 시장의 호조가 상속세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홍기용 인천대 경영대학원장은 최근 수년간 상속 증여세 관련 세율에 변화가 있었다든지, 감면 제도가 바뀌었다든지 한 일이 없었던데다, 상속은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이뤄지는 점 등을 감안하면 상속세를 신고하는 이들의 재산 규모가 늘었다고밖에 추정할 수 없다 고 설명했다. 홍 원장은 부동산이 상속재산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지난해 아파트 등 집값 상승세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또 상속세를 내는 인원 자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거액의 재산을 보유한 자산가가 사망했을 경우 전체 규모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다 고 설명했다.
연간 전체 상속재산은 13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규모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권이상 다른기사보기
댓글 0
문화
문체부 대표 누리집 복구 완료, 10월 20일부터 정상 운영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중앙정부-지자체, 전국에 있는 위기가구 발굴을 위해 힘 모은다!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자살예방을 위한 서울 동작구 현장간담회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외교부, 캄보디아 취업사기·감금 피해 관련 본부-공관 합동 상황점검회의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1
사회
고용노동부, “현장실습생이 꼭 알아야 할 산업안전수칙, ‘이러닝’을 통해 쉽게 배...
프레스뉴스 / 25.10.21
경남
사천시, 가족의 소중함과 화합을 담은 ‘2025 사천모든가족축제’ 성황리 개최
정재학 / 25.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