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 자세 유지·최소 2시간 마다 휴식·스트레칭 필요
(이슈타임)박상진 기자=추석 연휴 기간 전국적인 귀성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졸음을 느끼는 순간부터 이미 졸음운전을 한 것으로 간주해야 된다는 주장이 나왔다. 16일 의료계 전문가들은 졸음운전을 첫 신호는 바로 '하품'인데, 이 하품을 계속하면 눈이 피로해지고 정신이 멍해지므로 평소와 달리 운전에 집중할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장시간 운전을 하면 긴장한 상태에서 지속해서 근육을 쓰기 때문에 쉽게 피곤하고 힘들어진다. 또한 같은 자세로 오래 앉아 있다 보면 피부가 눌린 부위로 피가 통하지 않고 산소가 공급 되지 않아 몸이 배기고 쉽게 피로해진다. 이러한 상태가 심할 경우 정맥 내 피가 정체돼 혈관이 막히는 현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 삼성서울병원 스포츠의학센터 박원하 교수는 '운전 중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자동차 안에서도 스트레칭을 해주면서 몸의 긴장을 풀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소 2시간 마다 10분 이상의 휴식을 통해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휴게소에 들러 간단한 체조를 하는 것이 안전운전의 지름길'이라고 덧붙였다. 박 교수에 따르면 ▲ 제자리에서 가볍게 뛰기 ▲ 기지개 켜기 ▲ 어깨 주무르기 ▲ 목'손목'발목'허리 돌리기 등과 같은 동작만 취해도 훨씬 몸의 피로가 풀린다. 특히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졸음을 쫓기 위해서는 일시적인 각성 효과가 있는 커피와 같은 카페인 음료를 마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박 교수는 '커피는 시간이 지나면 피로를 더욱 가중하므로 졸음을 쫓는 좋은 방법은 아니다'며 '졸음이 몰려올 때도 휴게소에 들려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주거나 짧게라도 휴식을 취하는 게 올바른 운전습관'이라고 조언했다.
운전 중 졸음을 느끼는 순간 이미 졸음운전을 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사진=MBC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아침 최저 1도 '쌀쌀'...강풍에 체감온도 '...
강보선 / 25.10.21
문화
농촌진흥청, '농촌체험' 상품 검색부터 예약까지 쉽게 한다.
프레스뉴스 / 25.10.20
국회
수원특례시의회, ‘2025-26 V리그 남자배구 홈 개막전’참석
프레스뉴스 / 2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