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물리지 않아도 분비물 등 통해서 감염 가능
(이슈타임)김대일 기자=야생진드기를 통해 전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의 국내 최초 가족 간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근화 제주대의대 미생물학교실 교수팀은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NIID) 연구팀과 공동으로 2015년 6월 제주도에서 야생진드기에 물린 뒤 SFTS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한 남성(74)의 아내에 대한 유전자 및 혈청 검사를 시행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SFTS는 야생진드기의 일종인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질환으로, 치사율이 30%를 넘는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1~2주의 잠복기 이후 감기 증상과 비슷하게 열이 나거나 근육통을 앓는다. 이후 설사가 나거나 근육통이 심해지고, 심지어는 의식이 떨어지는 뇌 증상을 보이다가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면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SFTS 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치료하던 의료진의 2차 감염 사례만 보고돼왔다. 하지만 이 바이러스가 진드기에 물리지 않고도 분비물 등을 통해 환자와 밀접 접촉한 가족이나 의료진 등에게 옮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에 따르면 2015년 6월 당시 야생진드기에 물려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는 74세 남성과 그의 아들, 사위 등 총 3명이었다. 3명의 환자는 각기 진드기에 물린 자국이 있어 가족 간 감염으로 볼 수 없었다. 이 중 74세 남성은 치료를 받다가 증세가 나빠져 끝내 사망했고, 두 명은 회복했다. 연구팀은 숨진 74세 남성과 가정 내에서 접촉이 많았던 아내의 감염 가능성에 주목하고 혈액 내 혈청을 채취해 유전자 검사(PCR)를 하는 한편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에서 항체 검사를 시행했다. 아내는 진드기에 물린 자국은 없었다. 분석 결과 아내의 혈청에서 SFTS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검출됐다. 이는 남편으로부터 SFTS 바이러스에 2차 감염된 뒤 자연스럽게 면역력이 생긴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유전자 검사에서는 실제 SFTS 바이러스도 분리됐는데, 이 바이러스는 숨진 남편의 것과 동일한 계통으로 밝혀졌다. 이근화 교수는 "SFTS 바이러스의 가족 간 감염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된 것이지만, 세계적으로는 2012~2013년 사이 중국에서 3건의 가족 간 2차 감염이 보고된 적이 있다"면서 "중국과 한국 사례를 볼 때 SFTS는 의료인은 물론이고 환자를 돌보는 가족, 주변인 등에게도 감염될 수 있는 만큼 야생진드기 의심환자를 대할 때는 2차 감염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열대의학"위생학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ASTMH) 최근호에 발표됐다.
가족에 의한 야생진드기 바이러스 감염 사례가 국내 최초로 확인됐다.[사진=SBS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기후에너지환경부, 분리배출 거짓 정보에 속지 마세요…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홍보 강...
프레스뉴스 / 25.10.20
사회
성남교육지원청, 교육활동 보호 문화 조성을 위한 '학부모 챌린지' ...
프레스뉴스 / 25.10.20
사회
외교부, 미국 비자 문제 개선을 위한 범정부 TF 2차 회의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0
문화
농촌진흥청, '농촌체험' 상품 검색부터 예약까지 쉽게 한다.
프레스뉴스 / 25.10.20
국회
수원특례시의회, ‘2025-26 V리그 남자배구 홈 개막전’참석
프레스뉴스 / 25.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