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영장 '9개월에 한번 물 교체'…수질 관리 심각

한수지 / 기사승인 : 2017-07-27 14:15:4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물 교체 시 시간·비용 많이 들기 때문으로 추정
서울 시내 수영장들이 평균 30일에 한 번 물을 교체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이슈타임)한수지 인턴기자=피서철을 맞아 수영장을 찾는 이들이 늘어난 가운데 서울시 수영장들이 9개월에 한번 물 교체를 하는 등 수질 관리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정의당 이정미 의원이 27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서울시가 제출한 '2016년 서울시 수영장 물 사용량, 수영장면적' 등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민간 수영장 물교체 기간은 평균 30일이었고 공공수영장은 평균 29일이었다.

서울 중구의 한 민간 수영장의 경우 9개월(263일)에 1회 물을 교체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서초구 민간 어린이 전용 수영장은 4개월(133일)에 1회 물을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루에 1회씩 수영장 물을 교체하는 곳은 단 2곳 뿐이었다.

자료에 따르면'1주 이내에 1회 교체하는 비율은 38곳(31.1%), 1~2주 사이에 1회 교체하는 비율은 28곳(23.0%)이다. 2~3주는 18곳(14.8%), 3~4주는 10곳(8.2%)으로 조사됐다. 1개월 이상 기간이 지나 물을 교체하는 곳은 28곳(23.0%)이었다.

이 의원은 '물 교체 기간이 이렇게 긴 것은 수영장의 모든 물을 교체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며 또한 '현행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안전'위생기준에는 물 교체 회수와 교체 기간에 대한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은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수영장 수질 관리 문제도 함께'제기됐다. 이 의원이 이날 공개한 서울시 수영장 행정조치'적발현황 자료(2015~2017)에 따르면 판매시설 허가취소, 대장균군 검출, 유리잔류염소 수질관리 위반 등으로 28건이 적발됐다.

이 의원은 '수영장 수질'안전 관리 문제가 그동안 방치돼왔다'며 '수영장 수질 기준에 결합 잔류염소와 총 트리할로메탄, 일반 세균 등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서울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수영장 안전위생 관리 실태조사를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