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부품업계 간 상생협약 체결…사고 수리비 낮춘다

윤선영 / 기사승인 : 2017-09-07 15:56:12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소비자 경제적 부담 줄어들 전망
국내 완성차업계와 부품업계가 소비자의 자동차 수리비 부담을 줄이고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협약을 체결했다.[사진=ⓒGettyImagesBank이매진스]


국내 완성차업계와 부품업계가 소비자의 자동차 수리비 부담을 줄이고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손을 잡았다.


국토교통부는 7일 오후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한국자동차부품협회와 함께 '자동차 대체 부품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국내외 대체 부품 산업 관련 제도와 현황 등에 대한 공동 조사 및 연구, 자동차 부품에 설정된 디자인권의 보호 수준에 대한 상호 협의를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대체 부품의 생산과 사용이 활성화되면 자동차 수리비와 보험료가 줄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며 부품업체 역시 독자적인 자기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자동차 대체 부품 시장을 활성화해 소비자의 차량수리비와 보험료 부담을 줄이고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지난 2015년 1월 대체 부품 인증제도를 도입하고 한국자동차부품협회를 인증기관으로 지정하는 등 여러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 부품업체들은 자동차 수리 시장에서 수요가 많은 범퍼, 휀더 등 외장 부품에 설정된 완성차업계의 디자인권으로 인한 완성차업계와의 마찰을 우려해 대체 부품 생산을 주저해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2016년 초부터 완성차업계·부품업계와 10여 차례의 토론과 중재를 주재했다.


이에 양 업계는 그간의 우려를 해소하면서도 소비자를 위해 대체 부품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가능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지난달 말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기로 결정했다.


아울러 양 업계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분기마다 회의를 개최해 인증 부품의 생산 확대 방안 등 구체적인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김채규 자동차관리관은 "정부와 양 업계가 손잡고 대체 부품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게 돼 바람직하게 생각한다"라며 "앞으로 양 업계가 상호 협력하는데 있어 정부도 적극 지원해나갈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