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3D프린팅 분야에 올해 457억원 투입

순정우 / 기사승인 : 2018-03-05 14:22:43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2018년도 3D프린팅산업 진흥 시행계획 수립 발표

(이슈타임 통신)순정우 기자=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3D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신규 수요창출,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 등을 위해 지난해 보다 11% 증가한 457억원을 투입한다고 밝혔다.


이를위해 총괄 업무를 맡은 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교육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문화재청이 함께한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조사한 2017년 3D프린팅 산업실태에 의하면 국내 시장 규모는 2016년(2971억원)보다 16.8% 증가한 3469억원이며, 기업 수는 19.4% 증가(253개→302개)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시행계획은 이러한 성장세를 지속 높여나가기 위해 ‘3D프린팅산업 진흥 기본계획(’16.12월)’의 4대 전략 12대 중점과제를 강화한 2차년도 추진내용이다.


이를 위해 3D프린팅 산업의 신규 시장수요 창출을 위해 철도·재난안전 등 공공부문 단종·조달 애로부품(2종)과 산업부품(자동차·전자 등 5종), 생활밀착형 제품(가구 등 2종)을 시범 제작하고, 병원 수요를 받아 환자 맞춤형 의료기기를 3D프린팅으로 제작 지원하는 실증테스트베드 구축 및 의료기기 인증을 실시한다.


또 둘째, 3D프린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술 및 지능형 소재 개발을 지원하고 문화재 및 생활용품 등 활용수요가 높은 디자인을 3D콘텐츠(설계도면)로 제공한다.


아울러 3D프린팅 산업육성 제도적 기반 강화를 위해 장비ㆍ소재 및 출력물에 대한 품질평가 가이드라인 마련 및 소프트웨어 제품군별 품질평가 모델 개발 등 품질평가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3D프린팅 안전한 이용환경 조성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보급하고, 3D프린팅사업 종사자의 안전교육 편의제공을 위해 집합교육 위주에서 온라인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 등도 추진한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