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사진=KAI] |
(이슈타임 통신)순정우 기자=우리나라의 첫 항공정비(MRO)전문업체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비롯한 8개 국내외 업체와 기관이 참여하게 됐다.
항공정비(MRO)란 항공기의 안전 운항과 성능 향상 지원을 위한 정비(Maintenance), 수리(Repair), 분해점검(Overhaul)과 성능개량 및 개조 등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
KAI, 한국공항공사 등 8개 업체와 기관은 14일 한국공항공사에서 ‘항공MRO 전문업체 설립을 위한 발기인 조합 합의서’ 를 체결하고 항공MRO 신규법인에 대한 각사의 지분구조와 법인설립을 위한 주요 사항에 대해 합의한다.
이날 체결식에는 항공MRO 전문업체 설립에 참여하는 KAI 김조원 사장, 국토교통부 주현종 항공정책관, 한국공항공사 성일환 사장, BNK금융그룹 김지완 회장, 제주 항공 이석주 사장, 이스타항공 최종구 사장, 하이즈항공 하상헌 사장, 에이테크 심영섭 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다.
항공MRO 신규법인은 총 자본금 1,350억중 최대주주인 KAI가 65.5%, 한국공항공사가 19.9%로 2대 주주가 되며 나머지는 BNK금융그룹, 미국 부품업체 UNICAL, 하이즈항공, 에이테크, 제주항공, 이스타항공이 참여했다. ‣ KAI 김조원 사장은 “국내 항공기 운항의 안전성을 높이고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며 “국내 항공정비(MRO) 사업의 조기 안정화를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KAI 관계자는 “항공기 개발·생산·후속지원 기술력과 경험이 경쟁력”이라며 “정비시간(TAT : Turn Around Time)과 비용을 낮춰 해외 MRO 업체들과 경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KAI는 우수한 항공정비 인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선진 MRO 업체로의 위탁연수뿐만 아니라 자체 교육 프로그램도 개발해 운영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항공MRO 전문업체가 없어 연간 약 1조원 규모의 정비를 해외 항공MRO업체에 의존해 왔으며 LCC들의 안전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이에 정부는 2015년 외화유출방지, 항공기 운항 안전성 제고, 항공산업 발전 및 인프라 확대, 일자리 창출 등을 목표로 항공정비(MRO)산업 육성방안을 마련해 추진해왔다.
지난해 12월 국토교통부는 KAI를 정부지원 항공정비(MRO) 사업자로 선정했다.
항공정비 사업계획 평가위원회는 KAI가 항공기 제조사로서 기술력과 시설 등 MRO 사업추진을 위한 기반을 갖췄으며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 항공관련 협력업체 집적화 등 입지조건도 우수한 것으로 판단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순정우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보령시 제19회 대한건축사축구연합회장기 전국건축사 축구대회 보령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0.17
문화
음성군, 제44회 설성문화제 개막...전통혼례와 고추장 떡볶이 나눔으로 ‘열기 가...
프레스뉴스 / 25.10.17
사회
정읍시, 25년 자매도시 우정 다지고…한·중·일 교류 무대서 비전 제시
프레스뉴스 / 25.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