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더위 당겨쓰고, 겨울 추위 저축한다(?)‥

순정우 / 기사승인 : 2018-03-14 17:20:2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농촌진흥청, ‘지하수층 계절 간 축열 온실냉난방시스템’ 개발

(이슈타임 통신)순정우 기자=여름철 더위를 겨울 난방에 사용하고, 겨울철 추위를 여름 냉방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 온실 냉난방 기술이 개발됐다.


농촌진흥청은 여름철 온실냉방 시 발생하는 열기와 겨울철 온실난방 시 발생하는 냉기를 지하수층에 저장해 두었다가 다른 계절에 꺼내 온실 냉난방에 쓸 수 있는 ‘지하수층 계절 간 축열 온실냉난방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된 시스템은 히트펌프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냉기를 충적대수층 충적대수층: 지하수가 있는 모래, 자갈층. 우리나라의 경우 한강, 낙동강 등을 비롯한 대규모 하천 연안에 넓게 분포하며, 전 국토 면적의 약 27%, 대수층 두께는 2~30m. 이 발달한 하천 주변의 지하수층에 저장해 두고 필요할 때 20∼30m 깊이에 설치한 냉·온수관정으로 뽑아 올려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이용하는 기술이다.


여름철 온실냉방 시 히트펌프 응축기에서 배출되는 25∼30℃의 온수를 지하수층에 저장한 후 겨울에 이를 뽑아 올려 히트펌프로 온실난방에 이용하고, 겨울에는 반대로 히트펌프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7∼12℃의 냉수를 저장한 후 히트펌프를 이용해 온실냉방에 사용하는 시스템으로써 히트펌프의 효율을 20% 향상시켰다.


특히 이 시스템은 설치비가 고가인 기존 지열 히트펌프의 지중 열교환기 대신에 20∼30m 길이의 관정만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수직밀폐형 및 개방형 지열시스템보다 설치비를 약 30% 정도 줄일 수 있다.


겨울철 난방이 끝나고 지하수층에 냉열저장이 완료된 봄의 냉수정 온도는 10℃, 여름철 냉방 후 온열저장이 완료된 가을의 온수정은 20℃를 나타냈으며, 저장한 온열의 60%와 냉열의 30%를 각각 회수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지하수층 계절 간 축열 온실냉난방시스템’에 대해 특허등록(제10-1715752호)과 기술이전을 완료했으며, 14일 충남 부여의 방울토마토 재배농가에서 현장연시회를 갖고 의견 수렴 후 2019년부터 보급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