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BRT 내부순환 B0 노선서 ‘비접촉 요금결제 시스템’ 시범운영

임규모 / 기사승인 : 2022-08-11 15:07:1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8월 15일부터 태그없는 요금결제 시민체험단 90명 모집

 

▲ 시민체험단 모집 포스터(사진=국토교통부 제공)

 

[프레스뉴스] 임규모 기자= 세종시 BRT 도심 내부순환 B0 노선에 ‘비접촉 요금결제 시스템(이하 Super-BRT* 태그리스)’이 시범운영 된다.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시범운영을 위해 시민체험단을 모집한다고 11일 밝혔다.

 

오는 15일부터 26일까지 체험단을 모집하고 9월 5일부터 9월30일까지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Super-BRT 태그리스는 승객이 별도 앱을 설치하기만 하면 버스 승·하차 시 교통카드 등의 태그 없이 걸어서 지나가기만 해도 자동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시스템으로 편리하게 승·하차할 수 있고 시간도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시민체험단은 B0 노선을 주 3회 이상 이용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사용빈도, 통행목적, 통행시간대 등을 고려해 구성될 계획이다.

 

선정된 체험단은 ‘Super-BRT 태그리스 앱’을 설치 후 B0 노선의 전기굴절버스에서 사용 가능한 소정의 크레딧(적립식 선불요금)을 제공받고, 승·하차 시 자동으로 크레딧이 차감되는 방식으로 시범운영 기간 동안 Super-BRT 태그리스를 체험하게 된다.

 

버스요금이 크레딧으로 대체되므로 체험단은 별도의 비용 지불 없이 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앱을 통해 제출한 체험 만족도, 개선사항 등은 Super-BRT 태그리스 시스템의 안정화에 활용될 계획이다.

 

체험을 희망하는 시민은 오는 15일부터 26일까지 웹사이트를 통해 지원할 수 있으며, 관련 사항은 B0 노선 정류장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선정결과는 오는 31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와 웹사이트를 통해 공지된다. 체험단으로 선정되면 태그리스 사용방법 등 세부사항을 문자메시지로 전달받게 되며, 궁금한 사항은 문자에 언급된 콜센터(9월 운영)를 통해 문의 가능하다. 

 

한편 Super-BRT 태그리스는 BRT 기능을 고도화하기 위해 국가 R&D사업을 통해 개발된 핵심기술 중 하나로, 핵심기술은 빠른 승하차를 지원하는 태그리스를 포함해 교차로에서의 우선 신호, 지하철 수준의 고품질 실내 정류장, 쾌적성을 확보한 양문형 굴절버스 등이 있으며 세종시에서 연말까지 실증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