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월 '병영언어 순화 지침서' 발간
		
		
		     (이슈타임)김귀선 기자=군대는 일반인들과는 격리된 공간에서 특수한 임무를 띤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이다보니 그들만의 언어가 생겨나기 마련이다.  실제로 짬찌와 깔깔이 등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각각 신병과 내피를 뜻하는 단어다.  최근에는 젊은 장병들을 위주로 온라인 상에서 쓰여지는 말들까지 더해져 민간인들은 알아듣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군이 병영 내 잘못된 언어문화 개선을 위해 '병영언어 순화 지침서'를 발간할 계획이어서 군대 내 은어'비속어 사용을 얼마만큼 낮출 수 있을지 주목된다.  10일 국방부 관계자는 '오는 9월쯤 발간을 목표로 '병영언어 순화 지침서'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09년부터 시작된 병영 언어문화 개선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잘못된 언어가 쓰이는 한편 언어폭력이 존재한다는 군 당국의 판단에 따른 것이다.  국방부는 이에 따라 바른 병영언어 개념 정립, 병영 언어 교육체계 구축, 바른 병영언어 생활화 등 세가지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한 '언어 순화 지침서'를 발간키로 했다.  지침서는 일본식 표현과 무분별한 외래어, 군대 특유의 은어 등 병영 내 잘못된 표현들을 식별하고 순화어를 발굴해 사전 형식으로 제작될 예정이다.  순화어 발굴 등 전문성이 필요한 부분은 국립국어원 등 전문기관의 감수도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명 '다나까' 말투 등 병영 내 특수한 언어문화와 병영 언어문화 개선을 위한 효과적 방안에 대한 장병들의 의견을 수렴해 지침서에 반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방부는 병영 언어 교육체계 구축을 위해 지난해 11월 제작된 언어교육 교재를 전군에 배포했다.  국립국어원과 문화체육관광부 등과 협력해 효과적인 언어교육 체계를 잡아갈 방침이다.  또 국방부는 병영 내 폭력적 언어 사용을 바로잡는 차원의 조치도 취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신상필벌 인센티브 시스템 활용차원에서 지휘관 면담, 신고함 설치, 주기적인 설문 등을 실시해 부대 내 언어폭력 점검체계를 강화한다.  언어폭력 상습자에게는 인사상 불이익을 주는 방안도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가 군 내에서 사용되는 은어를 뿌리뽑기 위해 병영언어 순환 지침서 발간을 추진한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백재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강진소방서, 초등학생 대상 ‘불조심 손그림 포스터 공모전’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4

국회
대전시의회 김영삼 부의장, “내일의 꿈, 대전이 함께 걷겠다
프레스뉴스 / 25.11.04

사회
성주교육지원청, 성주지역 녹색어머니연합회 주관 2025학년도 등굣길 교통안전 캠페...
프레스뉴스 / 25.11.04

사회
양천구, 1조 9,000억 원 규모 ‘서부트럭터미널 도시첨단물류단지’ 첫 삽......
프레스뉴스 / 2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