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개발사는 공식 부인
(이슈타임)권이상"박혜성 기자=한국이 북한과의 접경지대인 비무장지대(DMZ)에서 공격용 로봇을 의미하는 "킬러 로봇(Killer Robot)"을 운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공격용 로봇 분야의 전문가 알렉스 발레즈-그린 신미국안보센터 연구원은 지난 9일(현지시간)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SGR(센트리 가드 로봇)-A1이라는 로봇이 한국의 DMZ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알렉스는 "로봇이 스스로 표적을 선별해 공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는 확실치 않으며 로봇을 개발한 삼성테크윈 측은 이를 공식 부인하고 있다"며 "그러나 그렇게 볼만한 상당한 근거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만일 이 로봇이 인간처럼 상호작용을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 이것은 한국이 북한의 공격을 억제하는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며 "특히 동시에 여러 지점을 향해 연쇄공격을 가할 수 있어 적의 공격 능력을 꺾어놓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저격수의 위협으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이 로봇은 인간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어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로봇은 민간인에 대한 위협 없이 억지력을 강화하고 평화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며 "특히 DMZ와 같은 제한된 환경에 배치돼 있기 때문에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을 가능성이 없으며, 오작동이나 오조준 가능성에 대비해 "셧다운"(가동중단)을 할 수 있도록 돼 있다"고 설명했다. SGR-A1은 삼성테크윈이 지난 2007년 선보인 지능형 감시 경계로봇으로 감시, 추적, 제압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형상인식장치가 내장돼 주간 2km, 야간 1㎞ 반경 안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사람인지, 차량인지, 동물인지 가려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도 지난 9일 게재한 기사에서 SGR-A1을 미국의 무인전투기 X47-B 등과 함께 킬러로봇의 하나로 분류한 바 있다.
한 로봇연구원이 "한국이 DMZ에 킬러 로봇을 운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아침 '쌀쌀' 낮부터 기온 올라…큰 일교차 주의
강보선 / 25.11.04

국회
여수시의회, 석유화학 산업위기 지역 행안부 보통교부세 지원 연장 환영
프레스뉴스 / 25.11.03

연예
'1박 2일', 독도 최정상에 오르다! 벅찬 감동에 뭉클 "...
프레스뉴스 / 25.11.03

연예
'착한 여자 부세미' 전여빈이 제시하는 의붓아들 장례식 패션! 가성...
프레스뉴스 / 25.11.03

사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육계 발육표준’ 현행화 조사 착수
프레스뉴스 / 25.11.03

사회
외교부, 2025년 라틴아메리카 협력센터 심포지엄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3

연예
'이강에는 달이 흐른다' 곤룡포는 ‘개인색형’으로, 급한 서찰은 ‘...
프레스뉴스 / 2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