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아기가 서로 바라볼 때의 경우와 똑같아
(이슈타임)백민영 기자=사람과 개가 서로 시선을 맞추고 바라볼 때 각각의 몸에서 부모와 자녀가 바라볼 때처럼 '모성호르몬'인 옥시토신이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6일 일본 아자부대학 키쿠스이 다케후미 박사팀은 과학저널 '사이언스'에서 실험을 통해 마주 보는 동안 사람과 개의 뇌에서 동시에 옥시토신 호르몬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개가 오랜 길들이기 과정에서 사람의 소통 양식을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옥스토신은 포유동물 몸에서 자연 분비 되는 호르몬으로써 사회적 교감, 부부애, 모성 본능을 촉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방에 개와 주인을 함께 들어가게 하고 30분 후 둘 사이에 일어나는 말하기, 쓰다듬기, 마주보기 등 모든 상호작용을 기록했다. 그 후 소변 검사를 통해 호르몬이 변하는 기록을 측적했다. 그 결과 서로 마주보는 행동을 할 때 사람과 개의 뇌에서 옥시토신 호르몬 수치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의 코에 옥시토신 호르몬을 분사한 후 다음 주인과 낯선 사람이 있는 방에 들여보내는 실험도 겸행했다. 이 경우 옥시토신을 분사하지 않은 경우보다 주인과 마주 보는 시간이 더 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개와 마주한 주인 역시 옥시토신 수치가 증가했다. 연구진은 '이 연구 결과는 서로 다른 종 사이에도 눈맞춤에 따라 옥시토신이 작용하는 소통 회로가 존재한다는 것을 뒷받침 하는 것으로 사람과 개가 공통의 소통방식을 통해 상호 유대감을 공동 진화시켰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네이처는 이에 대해 '마주볼 때 옥시토신이 증가하는 현상은 엄마와 아기가 서로 바라볼 때 똑같이 일어난다'며 '개가 사람에게 길들여지던 초기에 새로운 인간 가족과 유대를 강화하기 위해 이런 반응방식을 획득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개와 사람이 눈을 마주칠 경우 '모성호르몬'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 [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백민영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아침 '쌀쌀' 낮부터 기온 올라…큰 일교차 주의
강보선 / 25.11.04

사회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육계 발육표준’ 현행화 조사 착수
프레스뉴스 / 25.11.03

국회
여수시의회, 석유화학 산업위기 지역 행안부 보통교부세 지원 연장 환영
프레스뉴스 / 25.11.03

연예
'1박 2일', 독도 최정상에 오르다! 벅찬 감동에 뭉클 "...
프레스뉴스 / 25.11.03

연예
'착한 여자 부세미' 전여빈이 제시하는 의붓아들 장례식 패션! 가성...
프레스뉴스 / 25.11.03

사회
외교부, 2025년 라틴아메리카 협력센터 심포지엄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3

연예
'이강에는 달이 흐른다' 곤룡포는 ‘개인색형’으로, 급한 서찰은 ‘...
프레스뉴스 / 2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