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다리로 초당 0.25 속도로 이동하며 해저 탐사"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수심 6000m의 심해를 누비며 탐사 업무를 수행하는 국산 로봇이 개발된다.  지난 1일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는 다관절 복합이동 해저로봇 크랩스터 'CR6000'의 하드웨어 제작을 올해 말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르면 다음해 가을 중에 실제 해역에서의 수중 실험도 진행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 크랩스터는 게나 가재처럼 여러 개의 다리로 해저에서 걸어 다니거나 헤엄치면서 탐색과 로봇팔 작업을 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이다.  지난 2010년 개발에 들어가 2012년 수심 최대 200m 아래까지 내려갈 수 있는 크랩스터 'CR200' 하드웨어 제작을 마쳤고, 이듬해 수중 실험에 성공한 바 있다.  크랩스터는 다리 6개로 초당 0.25m 속도로 이동하며 해저를 탐사할 수 있다.  혼탁한 물속에서 반경 100m 이내 물체를 탐지하고 초음파 카메라로 전방 15m 이내 동영상 촬영이 가능하다.  크랩스터의 주요 임무는 해양과학 조사와 해저 구조물' 침몰선박 조사다.  실제로 CR200은 지난해 세월호 사고 현장에도 한 달간 투입돼 침몰한 선체를 초음파 영상으로 촬영해 제공하는 등 지원 활동을 펼쳤다.  또한 지난 4~5월에는 태안 마도 해역에서 로봇팔을 이용한 도자기 집어울리기, 주변 탐사 등 문화재 탐사 발굴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앞으로 해저 6000m에서 작업 가능한 CR6000이 개발되면 최대 수심이 3000m인 동해에서 크랩스터의 활동 범위가 넓어질 전망이다.  전봉환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수중로봇연구실장은 '불규칙하고 험한 해저를 근접 이동하면서 정밀 조사와 관측 작업을 하는 크랩스터가 바닷속 탐사의 새로운 장을 열 것'이라고 말했다.		
		
		
		
	
	심해를 누비는 첨단 탐사 로봇 '크랩스터'가 개발 중에 있다.[사진=YTN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 사회 - 진천군, 청년 톡톡(Talk Talk) 소통 릴레이 이어져 - 프레스뉴스 / 25.10.31 
 
- 사회 - 남양주시, 민‧관‧군 합동으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실시 - 프레스뉴스 / 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