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무청 실수로 군 복무한 군 면제자에 국가 보상 판결

박혜성 / 기사승인 : 2015-06-08 11:22:1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국가, 입대기간 생계비 공제 주장하다 기각 당해
병무청 실수로 억울하게 군 복무한 면제자에게 국가 보상 판결이 내려졌다.[사진-TV 조선 뉴스]

(이슈타임)박혜성 기자=병무청의 실수로 억울하게 군 복무를 한 군 면제자에 국가 보상 판결이 내려졌다.

지난 7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항소7부는 육군에 강제로 입대해 반년 간 복무한 A씨에게 국가가 2145만원을 배상하라고 선고했다고 밝혔다.

A씨는 어린 시절 때 좌측 대장절제 수술 등을 받았다.

이 수술은 징병검사 신체등위 5급(제2국민역) 사유여서 A씨는 현역은 물론 공익근무에서도 제외돼야 했다.

그러나 A씨는 징병검사에서 신체등위 1급으로 분류됐다.

이에 A씨가 의사 진단서를 제출했지만 징병검사를 담당한 의사의 오판으로 현역입영 대상인 2급 판정을 받았다.

허리디스크까지 생긴 A씨는 다시 신체등위 변경 신청을 내고 대기업에 취업했다.

그러나 디스크로도 신체등위를 바꾸지 못했고 결국 A씨는 지난 2011년 입대를 위해 다니던 회사를 9개월 만에 퇴사해야 했다.

A씨는 입대 후 허리 통증으로 군 병원을 찾았고 그곳에서 원래라면 자신은 신체등위 5급에 해당해 입대해서는 안 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A씨는 군 생활 약 6개월 만에 의병 전역했고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징병검사 의사의 과실이 인정된다며 A씨가 입대 전 받던 월급 약 300만원을 군 생활 기간에 대입한 1700여만원과 위자료 500만원을 보상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국가는 "A씨가 육군에서 복무한 기간의 생계비를 공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A씨가 입대하면서 사회에서 쓰던 의식주 비용 등을 아낀 셈이기 때문에 그만큼을 손해 보상금에서 빼달라는 것이다.

재판부는 "잘못된 강제처분으로 A씨가 군 복무를 했고, 군 복무를 하면서 생계비 상당의 이익을 얻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국가의 주장을 기각했다.

다만 군 생활 중 받은 월급 60만원은 보상금에서 공제하라고 판결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