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난 여론 의식해 주말에 올린 것 아니냐" 의혹 제기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서울 대중교통 요금이 인상됨에 따라 이용자들이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가운데 네티즌 사이에선 메르스로 국민이 혼란한 틈을 타 기습적으로 인상한 것 아니냐는 비난 여론이 거세게 일고 있다.   지난 27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첫 차부터 대중교통요금이 지하철은 1050원에서 1250원으로, 간 지선버스는 1050원에서 1200원으로, 마을버스는 750원에서 900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서울 광역버스는 1850원에서 2300원으로 450원, 심야버스는 1850원에서 2150원으로 300원씩 각각 올랐다.   어린이 청소년 요금은 동결 됐지만 현금 할증은 신분확인 절차 등으로 운행지연이 발생한다는 지적으로 폐지됐다.  65세 이상 영주권 노인은 내국인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돼 지하철 무임승차나 우대용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전 6시 30분 이전에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20% 할인해주는 조조 할인제가 적용됐다.  아울러 경기도와 인천시도 이날 첫 차부터 대중교통요금을 일제히 인상했다.  경기와 인천의 지하철은 서울과 똑같이 1250원으로 올랐다.  경기도 버스 일반형은 1050원에서 1250원으로, 좌석형은 1800원에서 2050원, 직행좌석형은 2000원에서 2400원으로 각각 인상됐다.  인천의 간선버스 요금도 1100원에서 1250원, 마을버스 요금은 800원에서 950원으로 올랐다.  이러한 대중교통 인상 소식에 누리꾼들은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메르스 사태로 국민이 혼란한 틈을 타 기습적으로 요금을 인상했다는 것이다.  한 누리꾼은  메르스로 정신이 없을 때 소리 소문 없이 인상했다 며  그것도 한 번에 200원씩 많게는 450원까지 올린 건 과한 것 이라고 비난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비난 여론을 의식해 주말에 올린 것 아니냐 는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어  월급만 안 오르고 다 오른다 ,  200원씩이나 오르다니 이젠 버스도 못 타겠다  등의 반응도 나왔다.		
		
		
		
	
	수도권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누리꾼들이 반발하고 있다.[사진=YTN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 사회 -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희망사다리교육재단, 장학생 대상 ‘AI 체험 캠프’ 운영 - 프레스뉴스 / 25.10.31 
 
- 사회 - 2025. 제천시 학교운영위원회위원장협의회 단합대회 개최 - 프레스뉴스 / 25.10.31 
 
- 국회 - 세종시의회, 신규 직원 대상 ‘세종시 이해 교육’및 현장방문 실시 - 프레스뉴스 / 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