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 기준 이해 안돼" 대학생들 하소연
		
		
		      (이슈타임)김현진 기자=국가장학금 수급 자격 기준을 두고 대학생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국가장학금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학생들이 국가에 지원을 받아 학업을 마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복지 혜택중 하나이다.  국가장학금을 받기위한 기준으로, '재학생(복학생)의 경우 직전학기 12학점이상 이수자로 100점 만점의 80점 이상 성적을 획득해야한다', '기초~2분위 이하에 대해서는 C학점(70점) 경고제를 적용해 직전학기 성적기준으로 최대지원 횟수 내에서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경우도 1회에 한해 경고 후에 받을 수 있다', 'II유형의 경우는 대학별 지원 기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소속대학의 최저이수학점 규정이 12학점 미만이면 소속대학 기준에 따르고 장애인은 이수학점 제한없이 100점 만점의 70점 이상 받으면 된다', '신입생, 편입생의 경우 첫 학기에 한하여 성적 및 이수학점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재입학생은 대학성적이 있는 경우 재학생 기준을 적용한다' 등 가이드라인이 존재한다.  하지만 최근에 국가장학금의 수급 자격 기준을 두고 학생들 사이에서 사실상 '실용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와 논란이 되고 있다.  특히 감사원 조사결과 국가장학금과 학자금대출의 중복 지급 문제가 심각한 수준으로 드러나 제도에 대한 불신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이중 수혜자 5만여명이 442억여원을 반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됐고, 이들 가운데 5천500여명은 소득수준 상위 20%에 해당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국가장학금을 받지 못 했다'는 하소연이 잇따라 올라오면서 소득 기준의 정확성과 형평성에 대한 논란이 더욱 불거졌다.  이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국가장학금, 못 사는데 못 받는 애들이 태반일 듯', '반값 등록금을 하라고', '정말 기준을 모르겠다' 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국가장학금 수급기준을 두고 대학생들 사이에서 실요성이 없다는 논란이 일어났다.[사진=YTN 캡쳐]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 사회 - 광주광역시교육청, 광주희망사다리교육재단, 장학생 대상 ‘AI 체험 캠프’ 운영 - 프레스뉴스 / 25.10.31 
 
- 사회 - 2025. 제천시 학교운영위원회위원장협의회 단합대회 개최 - 프레스뉴스 / 25.10.31 
 
- 국회 - 세종시의회, 신규 직원 대상 ‘세종시 이해 교육’및 현장방문 실시 - 프레스뉴스 / 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