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이제 떠나갈래", 나라 떠나는 2030세대

김담희 / 기사승인 : 2015-07-17 16:07:5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대한민국엔 더 이상 내 미래는 없어
2030세대들의 이민율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세월호, 메르스등 인재(人災)가 반복되고 살인적인 취업난에 미래가 불투명한 2030세대가 이민을 선택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에서 을로 사는 것이 지친 2030 젊은층에게 이민은 막연한 동경을 넘어 현실적인 한 대안이 되고 있다.

살인적인 청년실업에 이젠 '삼포'(연애, 결혼, 육아 포기)를 넘어 '오포'(연애, 결혼, 출산, 인간관계, 내 집 마련 포기)세대가 빈말이 아니게 됐다.

내 아이들에게 까지 이어지는 사회 비주류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불안감, 다른 세상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 등 청춘들이 이민을 원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해결 대안책으로 생각하는 건 '이민'으로 모아진다.

이민을 원하는 젊은 층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사회 풍속도도 만들어지고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이민스터디, 단체 카톡방이 생겨나고 가서 어떤일을 해야하는지 또는 국내 유턴 들에 대한 부작용은 없는지 구체적인 고민을 나누기 시작했다.

'단톡방'에서 서로의 이민 의지를 격려하거나 논문 자료 등을 공유해 국가별로 다양하고 까다로운 이민제도를 공부하기도 하고, 월급을 쪼개 '이민 적금'을 만들기도 한다.

통계에서도 이 같은 탈(脫) 대한민국 현상을 볼 수 있다.

법무부에 따르면 올들어 5월말까지 한국 국적 포기자는 7168명으로, 국적 취득자(6538명)보다 600명 이상 많은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014년 국적 포기자는 1만 9472면, 국적 취득자는 1만4200명으로 5000명 이상 차이가 났다.

단순히 국적 포기를 넘어 미국으로 취업이민을 떠나는 경제활동 인구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미국 국무부 자료에 따르면 'EB-3 취업비자'를 받은 한국인은 2006년 4803명에서 지난해 5945명으로 늘어났다.

국내 명문대 출신 '화이트칼라' 직장인들의 경우 북유럽 이민을 선호한다.

북유럽 국가의 높은 복지 수준과 공동체 의신, 한국의 비정상적인 교육 제도와 이념, 세대갈등에서 벗어나 가족들과 여유있는 삶을 보낼 수 있다는 점이 큰 매력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청년층 이민 증가의 부작용에 대한 목소리도 적지 않다. 정체성 고민, 이민 사기, 보이지 않는 인종 차면, 향수병 등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무엇보다 한국의 미랴를 책임져야 할 젊은 층이 조국에 실망하고 떠나는 것 자체가 국가 존립을 위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하다.

올해 초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 여론조사 업체 설문조사에서 '다시 태어나도 대한민국에서 태어나고 싶다'는 대답은 30.2%에 불과했다.

'요즘 같아선 다시 태어나고 싶은 생각 없다'고 답한 사람이 57.9%에 달했다는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청년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정치력 복원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치권 고위 관계자는 '청년층에게 희망을 주려면 무엇보다 우리 정치가 정쟁에서 벗어나 청년층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매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