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측 지역에서 벌어진 일이라 관심 가지지 않았었다" 주장
(이슈타임)박혜성 기자=최근 발생한 비무장지대(DMZ) 지뢰 도발 사건에 대해 북한이 뒤늦게 부인 의사를 밝혔다. 지난 14일 북한 국방위원회는 정책국 담화를 통해 우리 정부의 발표를 반박하며 현 남북관계 긴장상황의 책임을 전가하기 위한 남측의 '모략극'으로 몰아갔다. 북한 국방위는 나흘 만에 대응에 나선 배경과 관련해서는 '현지에 있는 우리 군인들도 당시 폭발장면을 목격했다'며 '남측 지역에서 벌어진 일이어서 별로 크게 관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얼마 전 140여 발의 지뢰가 터지는 등 해당 지역에서 화재나 폭우로 지뢰 폭발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사건 발생 당시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북 도발이라고 괴뢰 군부가 떠들고 괴뢰합동참모본부가 줴쳐대고 청와대가 악청을 돋구고 나중에는 유엔까지 합세하여 우리를 걸고드는 조건에서 그대로 침묵하고 있을 수가 없게 되였다'고 주장했다. 자신들의 소행도 아닌데 유엔군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가 북한의 정전협정 위반을 규탄하는 등 국제사회의 여론이 불리하게 돌아가는 것을 더이상 방치할 수 없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이러한 발표는 사건이 발생한 지 10일 만에, 우리 국방부가 도발 원인으로 북한을 지목한 지 나흘 만에 나온 것으로, 과거 사례와 비교해보면 한참 늦은 셈이다. 실제로 지난 2010년 천안함 사건 당시 북한 소행이라고 남한 정부가 공식적으로 확인한 지 30분 만에 북한 국방위원회가 대변인 성명을 통해 즉각 부인하고 나선 바 있다. 또한 지난 2009년 북한 경비정이 대청도 해상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했다가 퇴각한 대청해전 때도 북한군 최고사령부는 사건 발생 4시간50여 분만에 남측의 도발 행위로 규정하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의 대응이 늦은 감이 있는 것은 남측과 국제사회의 여론 추이를 지켜보면서 대응 논리를 만들고 김정은 제1위원장의 판단과 재가를 기다렸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일어난 DMZ 지뢰 도발 사건에 대해 북한이 뒤늦게 성명을 발표했다.[사진=SBS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오늘 날씨] 전국 대체로 흐리고 일교차 커…밤부터 중부·전라 비
강보선 / 25.10.31

스포츠
2025 울산-KBO Fall League 준결승 대진 확정
프레스뉴스 / 25.10.30

스포츠
[2025 렉서스 마스터즈] 시드 유지 위한 최종 관문… ‘제네시스 포인트 순위 ...
프레스뉴스 / 25.10.30

정치일반
김동연 지사, “피스(Peace)메이커, 페이스(Pace)메이커, 그리고 플레이(...
프레스뉴스 / 25.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