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무인항공기, 남북 고위급 회담 직전 GOP까지 남하

박혜성 / 기사승인 : 2015-09-02 11:25:38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헬기·전투기 긴급 출격했으나 격추하지 않아 소극적 대응 논란
지난 달 판문점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 직전 북한 무인항공기가 GOP까지 남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지난 해 발견됐던 북한 무인기.[사진=YTN 뉴스]

(이슈타임)박혜성 기자=판문점에서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이 진행됐던 지난 달 22일 북한의 무인정찰기가 GOP까지 넘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2일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 무인정찰기는 남북 고위당국자 접촉을 불과 2~3시간 앞둔 시간 DMZ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철책경계 부대인 GOP(일반전초) 상공까지 비행했다.

북한 무인정찰기가 DMZ내 MDL을 넘어 GOP 상공까지 비행한 사례는 거의 없는 일이다.

당시 북한군은 중부전선 DMZ 인근의 우리 군 병력과 장비 이동 움직임을 정찰할 목적으로 무인정찰기를 띄운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은 사건 이틀 전인 20일 오후 전군에 준전시상태 명령을 하달했으며, 우리 군도 최전방 부대에 진돗개 하나 와 최고경계태세를 발령해 초비상 상태에 돌입한 바 있다.

기종이 방현-Ⅱ 로 추정된 이 무인기는 북한이 중국의 무인비행기(D-4)를 도입해 개조했으며, 길이 3.23m로, 고도 3㎞, 최대 시속 162㎞로 비행하고 작전 반경은 4㎞에 달한다.

군은 이 무인기의 비행 궤적을 저고도탐지레이더와 공군 중앙방공통제소(MCRC)에서 포착하고 대공경계태세인 고슴도치 를 즉각 발령, 육군의 코브라(AH-1S) 공격 헬기와 공군의 전투기를 긴급히 출격시켰다.

DMZ 남방한계선 인근까지 접근한 헬기와 전투기는 10여분 간 북한의 무인항공기를 찾아 나섰다.

그러나 군이 DMZ 상공을 비행하는 무인기를 찾는 동안 북한 무인기는 DMZ 북쪽 지역으로 복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군은 무인정찰기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지적에 대해 헬기와 전투기를 긴급히 출격시켜 무인 비행체가 DMZ 이남 지역으로 남하하지 못하도록 저지 비행을 했다 고 말했다.

이어 미상 항적을 식별하고 헬기와 전투기를 출격시켰으나 DMZ 상공에서는 정전협정에 따라 사격이 제한된다 면서 GOP 이남으로 내려왔으면 즉각 대응하려고 했었다 고 해명했다.

그러나 군사분계선에서 남쪽으로 2㎞ 이내의 DMZ 지역 상공은 우리 영공에 해당하기 때문에 즉각 격파 사격을 했어냐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아무리 DMZ 지역이라고 하더라도 군사분계선을 침범한 북한 군인이나 장비에 대해서는 즉각 경고사격 내지는 격파사격을 해야 한다 면서 만약 우리 군이 DMZ 이남지역 상공을 비행하는 북한 무인기에 대한 대응 메뉴얼이 없다면 그것은 더 큰 문제 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