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돈 있으면 병역 기피 가능하다"

박혜성 / 기사승인 : 2015-10-04 23:43:49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돈 없는 집 자식들만 13년 군 복무해야 하는 게 북한군 실정"
북한에서는 돈을 내면 군복무를 사실상 면제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사진=ABC news]

(이슈타임)박혜성 기자=북한에서는 돈을 내고 군복무를 면제받는 관행이 만연한 것으로 알려졌다.

4일 미국 매체 자유아시아방송은 북한군과 인민보안부의 일부 병사들이 돈을 내고 군복무를 사실상 면제받고 있으며, 이들은 노동당 입당이나 대학추천도 제일 먼저 받아 동료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 북한 주민은 "2년 전 군대 갔던 우리 앞집 청년은 일 년 내내 집에서 놀고 있다"며 "말로는 "후방사업으로 출장 나왔다"고 하지만, 뇌물을 주고 집에서 논다는 사실을 동네 사람들이 다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돈 없는 집 자식들만 13년 동안 복무해야 하는 게 북한군 실정"이라며 분통을 터트렸다.

아울러 그는 "일명 "자택병사"로 통하는 이 군인들은 "후방사업"을 이유로 빠지는데, 한 달에 미화 50달러면 가능하다. 이 돈이면 장마당에서 쌀 100kg을 구입할 수 있는 큰돈"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한 소식통은 "이런 현상은 인민보안부 하사관들에게서도 나타나는데, 평안북도 도 보안부에 복무하는 한 20대는 매달 100달러가량 돈을 내고 집에서 놀고 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부유층 자녀들은 노동당에 입당하고 대학 추천도 받아야 하기 때문에 감정제대(의가사 제대) 같은 것을 하지 않는다"며 "집에서 놀다가 준전시나 큰 행사가 있으면 부대에 복귀하는데, 그러고도 노동당 입당과 대학추천은 제일 먼저 받는다"고 말했다.

한편 후방사업을 이유로 군에서 빠지는 사람들 외에도 북한에는 감정서(병력서)를 위조하고 군복무를 면제받은 군인들도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민군 4군단 군의소에서 복무했던 군관 출신 탈북자는 "2000년대 중반에 감정서를 위조하려면 미화 200달러가 필요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영양실조귀가", "가정곤란귀가" 등 여러 제대 항목이 있는데 모두 뇌물을 바쳐야 해 인민군 병사들 사이에 상대적 박탈감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