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로 뻗어가는 대한민국 '후퇴하는 역사교육'

김담희 / 기사승인 : 2015-10-12 13:34:05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한국사 교과서 집필자 "역사교육 40년 전으로 되돌리려는 저의가 무엇이냐"
11일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들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추진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


(이슈타임)김현진 기자=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두고 집핀진들이 중단을 촉구했다. 역사학회들도 반대 선언을 하고 나섰다.

11일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자 협의회(이하 한필협)은 "더 이상 한국 교과서와 집필진을 왜곡하고 매도하지 말라"는 성명을 냈다.

이들은 덧붙여 "정부 여당에서 "북한교과서의 일부를 보는 것 같다", "우리의 역사를 부정하는 반대한민국 사관으로 쓰여 있다"는 비난은 검정제도를 전혀 모르고 하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집필자들은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 수 있도록 문장 하나를 놓고 격론을 벌이고, 수많은 사진집을 뒤지기도 한다"며 "같은 정부하에서 엄격한 검정 절차를 거쳐 합격한 교과서를 폐기하고 국정화하려는 반교육적 근시안적 연사교육 정책을 폐기하라"고 역설했다.

역사교육연구회"역사교육학회"웅진사학회"한국역사교육학회 등 4개 역사교육 관련 학회도 공동성명을 내고 "만일 역사에서 고정된 하나의 해석만 가르친다면, 우리의 미래 세대는 사실 암기에만 치중하여 획일적인 사고의 틀에 빠지게 되며, 다원적 가치와 창조성, 상상력을 포함하는 비판적 사고력과는 거리가 먼 성인으로 자라게 될 것"이라며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는 어떠한 교육적 유익도 없으며, 스스로 정치적"문화적"교육적 후진국임을 자처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경상대 교수 67명도 한국가 교과서의 국정화를 반대하는 선언문을 냈다.

반면에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전국 시도 교총회장 회의에서 세가지 전제조건하에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찬성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교과서 집필 기준과 내용 방법 등은 공론화 과정을 거쳐 균형잡힌 방향을 설정하고, 집필진도 이념적으로 편협하지 않은 각계 전문가로 구성하며, 과거 교과서 국정화 과정에서 노출된 시행착오를 되풀이 하지 않는 역신적 방향을 조속히 제시할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