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 기피를 위해 꼼수 부리는 '얌체족'

박사임 / 기사승인 : 2015-10-13 10:20:51
  • 카카오톡 보내기
  • -
  • +
  • 인쇄
멀미약, 온몸 문신 등 병역 감면 위해 거짓행세
병역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얌체족이 등장했지만 이마 저도 손쉽게 적발돼 이젠 병역을 피하는 것이 어려울 전망이다.[사진=국방부 플리커]
(이슈타임)김대일 기자=병역면탈을 위해 멀미약을 눈에 바르는 수법을 쓰다 적발돼 징역형을 받은 사례는 지난해 뿐 아니라 2013년과 2011년에도 있었다.

최근 입대 대기자가 몰리며 군대 가기가 취업보다 어려워졌다고 한다. 군대에 가지 않기위해 꼼수를 쓰는 청년들의 모습은 예전과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병역 기피자 적발을 위해 병무청 내 특별사법경찰관이 도입된 2012년 9명에서 2013년 45명, 지난해 43명으로 대체로 늘고 있는 추세다.

유형별로 분류하면 정신질환 위장 이 33건으로 병역면탈 꼼수 1위를 차지했다. 최근 국내의 한 힙합가수가 귀신이 보인다 며 정신질환 행세를 했다가 징역형을 받은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병무청 관계자는 13일 수사기법과 관련된 부분이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말할 수 없다 고 밝혔다. 그러나 힙합가수의 경우처럼 귀신이 보인다고 주장하는 반면 정상적으로 사회생활을 하고 있다면 특별사법경찰관들의 의심을 받을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다른 군 관계자는 이를 알렸다.

고의 문신 도 31건으로 여전히 대표적인 병역기피 꼼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법상 신체 일부분에 문신을 한 경우는 문제없이 현역판정을 받지만, 몸 전체에 문신을 한 경우 보충역(사회복무요원) 판정을 받는다. 군대에 가지 않기 위해 온몸에 문신을 새기는 이들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뜻이다.

이어 멀미약 눈 바르기 등에 해당하는 안과질환 위장이 20건, 찰흙을 몸에 붙혀 체중을 늘리는 행위 등이 포함되는 고의적 체중조절이 18건으로 뒤를 이었다. 다만 적발된 병역면탈 사례가 이정도이지 제한된 수사인력을 감안하면 실제로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전국 병무청에 근무하는 특병사법경찰관은 40여명으로 매년 수만명의 병역 대상자를 상대하기는 턱없이 부족하다. 병무청은 특별사법경찰관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4년 이상 장기보직 유도정책을 펴는 등의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전문적 수사역량도 중요하지만, 부족한 인력으로 병역면탈자를 적발하기는 당연히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4년간 123건 적발은 적은 게 아니냐는 지적에 병무청 관계자는 그나마 특별사법경찰 도입 이후 적발이 늘어났다 며 이 정도 적발도 결코 적지 않다 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글자크기
  • +
  • -
  • 인쇄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