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당 평균 6.8시간 더 일하는 셈인 것으로 드러나
(이슈타임)김현진 기자=한국의 전체취업자의 연평균 근로시간이 OECD가입국가에서 2위를 차지했다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 지난 2014년 기준 한국의 1인당 연평균 근로시간은 2124시간으로 OECD가입국가 1인당 연평균 근로시간인 1770시간에 비해 1.2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OECD의 '1인당 평균 실제 연간 근로시간'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국내 임금 근로자와 자영업자 등 전체 취업자(시간제 근로자 포함)의 1인 평균 근로시간은 2124시간으로 OECD 회원국 34개국 가운데 멕시코(2228시간) 다음으로 긴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인들은 OECD 회원국 평균(1770시간)보다 연간 354시간 더 많이 일하는 것으로 돼 주당 평균 6.8시간 더 일하는 셈인 것이다. 한국은 지난 2007년까지만 해도 OECD 회원국 가운데 1인당 평균 근로시간이 가장 길었지만 2008년 멕시코에 근로시간 최장 국가 자리를 넘겼다. 한국인의 근로시간은 2000년 2512시간에서 매년 꾸준히 줄어 2011년 2090시간까지 내려갔다가 2012년(2163시간)부터 오르락내리락하고 있다. 지난해 1인당 평균 근로시간이 가장 짧은 나라는 독일로 1371시간에 불과했다. 이는 한국인이 8개월 일한 것과 같은 수준이다. 근로시간이 1500시간 미만인 나라는 독일을 비롯해 네덜란드(1425시간), 노르웨이(1427시간), 덴마크(1436시간), 프랑스(1473시간) 등 5개국이었다.' 일본(1729시간)과 미국(1789시간), 이탈리아(1734시간) 등은 OECD 평균과 크게 차이 나지 않았다. 영국은 1677시간이었다.' 한편 지난해 자영업자 등까지 포함한 국내 전체 취업자의 평균 노동시간이 45시간 늘어났으나 임금 근로자가 일한 시간만 따지면 2013년(271시간)보다 14시간 감소한 257시간으로 집계됐다.' 근로자 노동시간은 OECD에서 멕시코(2327시간)와 칠레(264시간)에 이어 3번째로 길었다. 국내 근로자 노동시간은 통계치가 있는 2008년(2120시간)부터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시간제 근로자의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2일 OECD '1인당 평균 실제 연간 근로시간' 통계에 따르면 한국이 근로시간 2위를 차지했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최대호 안양시장, 루꽝응어이 베트남 빈롱성 인민위원회 위원장 접견
장현준 / 25.10.29

정치일반
경기도의회 박상현 의원, '연구 인건비 현실화·R&D 범위 확대' ...
류현주 / 25.10.29

사회
장수군 장계면건강생활지원센터, ‘우리 함께 걸어봄’ 걷기행사 성료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대구시교육청, iM뱅크와 함께 하는 ‘학생 민주시민 체험활동 기부금’ 전달식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