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 신의를 보여 한일관계 발전하자" 압박 풀이
(이슈타임)김현진 기자=박대통령이 일번 아베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에서 '성신지교'를 언급해 눈길을 끌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이 2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첫 정상회담에서 '성신지교'(誠信之交)를 거론하며 언급한 선각자는 일본 에도(江戶)시대 외교관이자 유학자였던 아메노모리 호슈(雨森芳洲.1668-1755)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이날 아베 총리를 향해 외교에서의 신뢰를 강조하며 '일본에도 한일관계는 진실과 신뢰에 기초해야 한다는 성신지교를 말씀하신 선각자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아메노모리는 임진왜란 이후 경색됐던 조선과 일본의 우호관계 회복에 힘썼던 인물이다. 일본어는 물론 조선어, 중국어 등 3개국어에 능통했던 그는 특히 조선에 관심이 많았다. 부산의 초량 왜관에서 근무하면서 조선어를 배운 그는 경상도 사투리를 유창하게 구사했으며 직접 조선어 교과서를 쓰기도 했다.' 그는 대조선 외교 지침서인 '교린제성'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일으킨 임진왜란을 대의명분 없는 살상극으로 규정하고, 한일 간에는 속이지 않고 다투지 않으며 진실을 가지고 교류해야 한다는 '성신지교'를 주창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이 이날 아메노모리의 이름을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성신지교'를 언급한 것은 아베 총리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서 신의를 보여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자는 우회적 압박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늘 회담이 아픈 역사를 치유할 수 있는 대승적이고 진심 어린 회담이 되어서 양국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1990년 노태우 당시 대통령도 일본 방문시 '270년전 조선과의 외교를 담당했던 아메노모리 호슈는 '성의와 신의의 교제'를 신조로 삼았다고 한다'고 언급해, 일본 내에서도 화제가 되기도 했다.
2일 박대통령은 아베총리에게 성신지교를 예로들며 한일관계에 대해 진실과 신뢰에 기초해야한다고 말했다.[사진=연합뉴스 이정훈기자]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최대호 안양시장, 루꽝응어이 베트남 빈롱성 인민위원회 위원장 접견
장현준 / 25.10.29

정치일반
경기도의회 박상현 의원, '연구 인건비 현실화·R&D 범위 확대' ...
류현주 / 25.10.29

사회
장수군 장계면건강생활지원센터, ‘우리 함께 걸어봄’ 걷기행사 성료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대구시교육청, iM뱅크와 함께 하는 ‘학생 민주시민 체험활동 기부금’ 전달식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