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밖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중 일환
(이슈타임)김현진 기자=서울시에서 내년부터 저소득층 취업 준비생들에게 월 50만원씩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정기 소득이 없는 미취업자이면서 사회활동 의지를 가진 청년들에게 최장 6개월간 교육비와 교통비, 식비 등 최소 수준의 활동 보조비용에 해당하는 월 50만원을 준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초단시간 근로자나 졸업유예자 등 학생도 취업자도 아닌 일명 '사회 밖 청년'들을 지원하기 위한 '2020 청년 정책 기본계획'의 일환이다. 서울 거주 만 19'29세의 중위소득 60% 이하 청년이 대상으로, 구직 활동 등 자기 주도적 활동이나 공공'사회활동 등에 대한 계획서를 심사해 선발한다. 시는 사회진입에 실패한 청년들에게 디딤돌을 마련해주는 취지라고 말했다. 시는 또 '공공인턴'인 청년 뉴딜일자리사업 참여 인원을 2020년 연 5000명으로 10배로 확대하고 참여 기간을 11개월에서 최대 23개월로 늘린다. 청년뉴딜일자리는 공공부문 현장에 청년을 투입하고 시급 5900'6500원과 4대보험 등 인건비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만 19'34세 서울 거주 졸업예정자와 미취업 청년이 대상이다. 또 청년들의 주거 빈곤율을 낮추기 위해 2018년까지 1인 청년 가구에 셰어형 기숙사 모델과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대학생 희망하우징, 빈집 살리기 프로젝트, 한지붕 세대 공감, 자치구 청년 맞춤형 주택을 4440가구 지원한다. 이 가운데 새로 도입되는 셰어형 기숙사 모델은 고시원과 숙박시설 등을 매입, 리모델링한 뒤 1인 청년가구에 공공임대로 공급하는 방식이다. 시는 건강한 금융생활을 도모하는 30인 이상 모임에 내년부터 활동공간과 사업비 등을 지원하는 청년자조금융 활성화 사업도 한다.' 일을 하는 서울 거주 18'34세 청년이 학자금, 주거, 결혼 문제로 곤란함을 겪지 않도록 저축을 통한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희망 두배 청년통장' 사업도 계속한다. 올해 말에 은평구 서울혁신파크에 문을 여는 '청년청'에는 청년 단체 57개가 입주한다.' 청년청은 일자리와 주거 등 다양한 청년문제의 해결방안을 청년 스스로 모색하는 거점 공간으로, 입주 단체들은 저렴한 비용에 사무실과 회의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서울시는 소득이 없는 저소득층 취준생들을 위해 월 50만원씩 지원금을 내년부터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GettyImagesBank멀티비츠 ]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김담희 다른기사보기
댓글 0

경기남부
최대호 안양시장, 루꽝응어이 베트남 빈롱성 인민위원회 위원장 접견
장현준 / 25.10.29

정치일반
경기도의회 박상현 의원, '연구 인건비 현실화·R&D 범위 확대' ...
류현주 / 25.10.29

사회
대구시교육청, iM뱅크와 함께 하는 ‘학생 민주시민 체험활동 기부금’ 전달식 개최...
프레스뉴스 / 25.10.29

사회
장수군 장계면건강생활지원센터, ‘우리 함께 걸어봄’ 걷기행사 성료
프레스뉴스 / 2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