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 인상·금연 캠페인 등 영향으로 분석
(이슈타임)신원근 기자=우리나라 성인남성의 흡연율이 지난 해 사상 처음으로 30%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보건복지부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계한 결과 작년 만 19세 이상 성인 남성의 흡연율이 39.3%로 전년의 43.1%보다 3.8%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성인 남성 흡연율이 40% 이하로 떨어진 것은 흡연율 집계가 시작된 1998년 이후 처음이다. 흡연율은 1998년 66.3%, 2001년 60.9%, 2005년 51.6%를 기록한 뒤 2008년 40%대로 떨어졌으며 이후에도 금연구역 확대 등의 영향으로 하락세를 이어가 2013년 42.1%까지 내려갔지만 2014년에는 다시 43.1%로 반등한 바 있다. 복지부는 이러한 현상이 지난 해 1월 1일 자로 단행된 담뱃값 2000원 인상과 모든 음식점으로 금연구역 확대 등 금연 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복지부는 건강보험 재정에서 금연치료서비스를 지원했으며 강도 높은 금연 캠페인을 전개해왔다. 사회 전체적으로 금연 열풍이 불자 간접흡연율(최근 7일새 간접흡연 노출 경험이 있는 사람의 비율) 역시 큰 폭으로 떨어졌다. 공공장소에서의 간접흡연경험률은 지난 해 35.4%로 전년 대비 16.7%포인트 급감했으며 직장에서의 간접흡연경험률 역시 전년보다 13.3%포인트 낮아진 26.8%였다. 다만 흡연율은 하락했지만 전자담배 사용률은 크게 늘었다. 남성의 전자담배 사용률은 7.1%로 전년의 4.4%보다 2.7%포인트나 증가했다. 또한 남성과 달리 여성의 흡연율은 별 차이가 없었다. 지난 해 성인 여성의 흡연율은 전년 5.7%보다 0.2%포인트 줄어드는데 그친 5.5%로 추정된다. 남녀를 아우르는 전체 성인 흡연율은 22.6%로 전년도 24.2%보다 1.6%포인트 하락했다. 흡연율이 많이 하락하기는 했지만,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그리스에 이어 두번째로 남성(만 15세 이상 기준) 흡연율이 높다. 정부는 2020년 성인남성 흡연율을 OECD 평균 수준인 29%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복지부는 "작년 역대 최고 폭으로 남성 흡연율이 줄어든 것에는 담뱃값 인상 외에도 관련 예산을 전년 대비 13배 수준인 1475억원 수준으로 늘리며 금연지원 서비스를 확대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12월 담뱃갑 경고그림 의무화가 시행되면 흡연율 하락이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발표된 흡연율 수치는 복지부가 매년 4000가구"8000명 안팎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일부로, 추정치인 만큼 정확한 수치는 달라질 수 있다. 복지부는 매년 10월께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공식 발표하고 있다.
국내 성인 남성 흡연율이 사상 처음으로 30%대까지 떨어졌다.[사진=YTN 뉴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박혜성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스포츠
[제네시스 챔피언십] 1R 조편성 발표… 옥태훈-임성재 맞대결, 안병훈-아담 스콧...
프레스뉴스 / 25.10.22
국회
용산구의회, ‘지속가능한 폐기물 처리 및 쓰레기 감량 결의안’채택
프레스뉴스 / 25.10.22
경제일반
중소벤처기업부, "여성기업을 통한 대한민국의 지속성장 실현" &...
프레스뉴스 / 25.10.22
문화
박범인 금산군수, 인삼 세계화 미국 동·서부 동시 공략 출장 소식 전해
프레스뉴스 / 25.10.22
사회
‘도민이 바꾸는 행정’제주도 규제개선 우수제안 10건 선정
프레스뉴스 / 25.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