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화폐 발행량 중 5만원권의 비율이 처음으로 70%를 넘어섰다.
27일 한국은행은 지난 21일 5만원권의 발행잔액은 49조1000억원으로 5000원권과 1만원권 등을 포함한 전체 화폐발행 잔액(69조1000억원)의 71.0%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지난 2009년 처음으로 발행된 5만원권은 발행 첫해 비중이 전체 화폐량의 28.0%에 불과했지만, 2010년 46.0%, 2011년 55.8%, 2012년 62.8%, 지난해 66.5%로 빠르게 상승했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7월 67.6%, 8월 67.8%, 9월 68.4% 등 꾸준히 증가세를 이어왔다.
이에 비해 1만원권 발행잔액 비중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 2009년 전체 화폐 발행잔액의 65.7%였던 1만원권은 2011년에 39.2%로 5만원권보다 비중이 줄어들었다. 지난 2012년 32.5%, 작년 29.2%, 올해 들어선 25.0%까지 비중이 떨어졌다.
5만원권 발행잔액이 빠르게 확대된 요인으로는 거래 편의성, 경제규모 확대, 1만원권과 수표 대체 효과 등이 꼽혔다.
지난 15일 기준으로 금 1돈(3.75g)의 소매가격은 18만8100원인데, 1장에 1g인 5만원권은 같은 무게의 금과 비슷한 기치가 있다. 그만큼 보관과 거래가 편하다는 뜻이다. 한국은행은 고액권 화폐 수요가 증가하는 것은 주요국의 공통적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50달러 이상 고액권 비중은 지난해 말 83.4%였고 유럽에선 50유로 이상인 화폐 비중이 90.4%에 달했다. 일본은 5000엔 이상인 화폐 비중이 95.1%다.
5만원권은 정부가 지하경제 양성화를 국정과제로 내세운 작년부터 환수율이 급락, 탈세 등 지하경제 수요가 늘어났다는 추측이 제기돼 왔지만 정확한 원인 분석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환수율은 특정 기간에 발행된 화폐가 한국은행으로 돌아온 비율을 뜻한다.
한국은행 측은 저금리 시대를 맞아 현금 선호경향이 커진 점과 금융기관의 5만원권 보유 수요가 높아진 점 등을 환수율 하락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5만원권의 환수액 대비 발행액 비율 하락을 지하경제 확대로 해석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다고 설명했다.
나상욱 한국은행 발권국장은 "5만원권은 발행된 지 5년밖에 지나지 않아 유통화폐가 매우 청결할 상태이다"라며 "금융기관이 손상 화폐 교환을 위해 한국은행에 5만원권을 입금할 유인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프레스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서영웅 다른기사보기
댓글 0

사회
시민과 함께한 ‘천안시 인구정책포럼’…일생활 균형 저출생 대응 공감대 형성
프레스뉴스 / 25.11.05

국회
제136차 경북 북부지역 시·군의회 의장협의회 월례회, 울진군에서 개최
프레스뉴스 / 25.11.05

경제일반
서귀포시, 보목·구두미포구 어촌신활력 증진사업 공모 선정
프레스뉴스 / 25.11.05

사회
부산 사상구, 주민이 함께 만든 열린 도서관으로 대통령상 영예
프레스뉴스 / 25.11.05

















































